「근로기준법」이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 해당하는지 여부 2022.09.19 안녕하세요 건설기준정보 모음입니다.이번에 다룰 내용은 「근로기준법」이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질의는 근로기준법 위반(18세 미만 또는 임산부의 유해·위험 작업 투입)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으로 이어지는지 여부입니다. 고용노동부 회시의 결론은 근로기준법 위반만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이 성립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회시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5조 제1항의 "안전·보건 관계 법령"이 일반적으로 산업안전보건법 등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직접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법률을 의미한다고 해석합니다. 반면 근로기준법 제65조는 임산부와 18세 미만 근로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그 목적이 사업장 내 안전·보건 확보와는 다르다고..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6항 직장 내 괴롭힘 신고로 인한 불리한 처우 관련 2022.09.20 안녕하세요 건설기준정보 모음입니다.이번에 다룰 내용은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6항 직장 내 괴롭힘 신고로 인한 불리한 처우 관련입니다.고용노동부 질의에 대한 답변은, 직장 내 괴롭힘 신고(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6항)를 이유로 해고 등의 징계를 할 수 없다는 단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징계 사유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신고를 이유로 징계를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판단 기준은 직장 내 성희롱 관련 판례(대법원 2016다202947, 2017.12.22.)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시간적 근접성불리한 조치(징계)와 신고 시점의 간격..
장기근속수당의 임금성 여부 2022.09.23 안녕하세요 건설기준정보 모음입니다.이번에 다룰 내용은 장기근속수당의 임금성 여부입니다.고용노동부는 장기근속수당이 평균임금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질의에 대해, 구체적인 사실관계 확인 없이는 명확한 답변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장기근속수당은 근로자 개인의 우연하고 특수한 사정에 따라 일시적으로 지급되는 금품으로, 근로의 대가로 정기적·계속적으로 지급되는 근로기준법상 임금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를 제시했습니다.즉, 평균임금 및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이지요. 이는 장기근속수당이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소정근로의 대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취업규칙에 지급 의무가 있다 하더라도, 그 성격상 평균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입니..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7항의 관계기관의 범위 등 2022.09.30 안녕하세요 건설기준정보 모음입니다.이번에 다룰 내용은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7항의 관계기관의 범위 등입니다.고용노동부는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7항에서 규정하는 "관계기관"은 검찰, 사법경찰관(근로감독관) 등 수사기관을 의미하며, 사내 성과평가위원회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은 피해자의 동의 없이 누설해서는 안 되지만, 수사기관의 요청에 따른 정보 제공은 예외입니다.사용자에게 보고하는 행위 또한 예외로 인정되지만, 사내 성과평가위원회에 조사 내용을 제공하는 것은 법 위반 소지가 있으므로, 단체협약, 취업규칙, 사용자의 권한 위임 내용, 성과평가위원회의 평가 절차 등을 종합..
무기계약을 기간제 계약으로 변경이 가능한지 2022.09.30 안녕하세요 건설기준정보 모음입니다.이번에 다룰 내용은 무기계약을 기간제 계약으로 변경이 가능한지입니다.고용노동부 질의에 대한 답변 요약: 기간 없는 근로계약을 기간 있는 계약으로 변경하는 것은 당사자 간의 자발적인 합의가 있으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합의가 실질적으로 자발적이지 않고 사용자가 부당하게 기간 만료를 이유로 근로 관계를 종료하면, 이는 부당해고에 해당하며 근로기준법 제23조에 따른 정당한 이유가 필요합니다.즉, 변경의 합의 과정과 내용이 중요하며, 합의의 진정성 여부에 따라 법적 효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 확인 없이는 명확한 판단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클릭하여 질의회시 전문 확인하기👇 무기계..
공동수급계약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경영책임자의 판단 2022.08.18 안녕하세요 건설기준정보 모음입니다.이번에 다룰 내용은 공동수급계약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경영책임자의 판단입니다.고용노동부 질의회시에 따르면, 공동수급계약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비주관사 소속 직원의 중대산업재해 사망 시 비주관사 경영책임자의 형사처벌 여부는 공동사업주 간의 사업 운영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경우: 모든 공동사업주가 사업 운영에 실질적으로 관여하고, 이익 배분 및 손실 부담을 공유하며, 공동운영협약에 따라 합의를 통해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모든 공동사업주 경영책임자는 중대재해처벌법상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부담하여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즉, 각 사업주 소속 근로자들이 함께 작업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