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교량받침 KCS 24 40 05 :2023란?KCS 24 40 05:2023은 한국건설생산기술원에서 발행한 "교량받침"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교량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의 종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에 대한 상세한 기준과 지침을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다양한 유형의 교량받침, 설치 방법, 성능 요구 사항, 검사 기준 등이 포함됩니다. 이 시방서는 교량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설계자, 시공자, 감독자 및 검사원에게 교량받침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교량받침의 품질관리 및 시공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에 적용한다.(2) 이 기준이 적용되는 받침 형식으로는 탄..
알루미늄구조(한계상태설계법) KCS 24 31 15 :2023란?KCS 24 31 15:2023은 알루미늄 구조물 설계를 위한 한국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 설계법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요구 사항과 지침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 재료 강도, 하중 조건, 부재의 안정성, 연결부 설계, 내구성, 내화성, 지진에 대한 저항 등을 다루며, 알루미늄 구조물의 설계, 제작, 시공 및 검사 과정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은 당해 공사의 공사시방서에 따른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 KS B 0802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KS B 08..
용접(한계상태설계법) KCS 24 31 10 :2023란?KCS 24 31 10 :2023은 용접(한계상태설계법)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로, 용접 구조물의 설계, 시공, 검사 및 평가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하여 용접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며, 용접 재료, 용접 방법, 용접 작업 절차, 용접 검사 및 평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시방서에는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하여 다양한 종류의 용접 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설계 및 시공 방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도로교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 강도로교 및 기타 강구조물의 용접에 적용한다.(2)..
강구조(한계상태설계법) KCS 24 31 05 :2023란?KCS 24 31 05:2023은 강구조물 설계에 사용되는 한계상태설계법에 대한 한국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건축물, 교량, 탑과 같은 강구조물의 안전성과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 관리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한계상태설계법을 사용하여 강구조물의 하중 및 응력을 분석하고, 구조물이 예상되는 하중 조건 하에서 안전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KDS 24 00 00에 따라 설계한 강도로교 및 강과 콘크리트의 합성 도로교의 제작 및 가설에 적용한다.(2)이 기준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은 당해 공사의 공사시방서에 따른..
강교량공사 KCS 24 30 00 :2023란?KCS 24 30 00:2023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발행한 "강교량 공사"에 관한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강교량의 설계, 시공, 검사,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술적인 사항들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으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강교량 건설을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시방서에는 재료, 시공 방법, 품질 관리, 검사 기준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강교량 공사에 참여하는 모든 관계자들이 준수해야 할 필수적인 지침입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강교량 및 강과 콘크리트의 합성 교량의 제작 및 가설에 적용한다. 이 기준에서 기술하지 않은 내용은 KCS 14 31 00의 관련 내용을 따른다.1.2 참고기준․ KCS 14 20 00 콘크..
교량 하부 구조물 KCS 24 20 30 :2023란?KCS 24 20 30:2023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 발행한 건설 표준시방서로, 교량 하부 구조물에 대한 시공 및 검사 기준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시방서는 교량 기초, 교각, 교대 등 하부 구조물의 설계, 시공, 검사, 유지관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량 건설을 위한 표준을 제시합니다. 또한, 국내외 관련 규정 및 기술 기준을 반영하여,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교량 하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내용 없음.1.3 용어의 정의‧ 기초: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여 구조물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갖게 하는 하부구조물‧ 동..
안전시설공사 일반사항 KCS 21 70 05 :2022란?KCS 21 70 05:2022는 건설 표준 시방서로, 안전시설 공사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다룹니다. 이 표준은 안전시설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또한, 안전시설 관련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고,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 관리 체계 구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건설현장에서 작업 중에 위험발생이 예상되는 장소에 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시설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
PSM 공법 KCS 24 20 25 :2023란?KCS 24 20 25 :2023은 "PSM 공법"에 대한 한국건설표준시방서입니다. PSM 공법은 Precast Segment Method의 약자로, 사전에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Segment)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조물을 건설하는 공법입니다. 이 시방서는 PSM 공법을 적용한 구조물의 설계, 시공, 검사 및 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을 담고 있으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PSM 공법 적용을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PSM(Precast Segment Method) 공법을 적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내용 없음1.3 용어의 정의· 겐츄리크레인 : 세그먼트를 인양하여 런..
추락재해 방지시설 KCS 21 70 10 :2022란?KCS 21 70 10 :2022는 건설 현장에서 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시설 설계 및 시공에 대한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건설 현장의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 시설의 종류, 설치 기준, 검사 방법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작업 발판, 안전난간, 안전망, 추락 방지대 등 추락 방지 시설의 설계 및 시공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현장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건설 현장에서의 추락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추락방지 산업용 벨트 확인하기📌 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건설현장 등의 고소작업 장소에서..
MSS 공법 KCS 24 20 20 :2023란?KCS 24 20 20 :2023은 "MSS 공법"에 대한 한국건설표준시방서입니다. MSS 공법은 " Movable Scaffolding System "의 약자로, 콘크리트 상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공법입니다. 이 시방서는 MSS 공법에 필요한 기술적인 사항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공법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상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로서 Below Type의 경우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내용 없음.1.3 용어의 정의· 브래킷 : 집중하중이나 보의 반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기둥면 또는 벽체면에서부터 나와 있는 돌출 부재· 비계 : 공사용 통로나 작업..
작업발판 및 통로 KCS 21 60 15 :2022란?KCS 21 60 15 :2022는 작업발판 및 통로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작업발판 및 통로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보수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여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발판의 종류, 재료, 강도, 설치 방법, 안전장치, 계단 및 사다리, 난간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작업 중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 사항과 점검 항목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근로자의 작업과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발판과 통로로 사용되는 계단, 경사로 및 사다리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
비계 KCS 21 60 10 :2022란?KCS 21 60 10 :2022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 발간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종류, 재질, 성능, 설치 방법, 검사 기준 등을 명확하게 정의하여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또한,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영구적으로 설치된 달비계, 곤도라 및 목재를 사용하는 비계를 제외한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비계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 가설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