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에 다룰 주제는 LH 공사 건축공사 일반사항 입니다.
[자료 모음] 하단의 사진을 클릭하시면 LHCS LH전문시방서 자료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방서 요약
일반 사항
- 적용 범위: LH 시공사업에 적용
- 용어 정의
- 제출물: 관련 서류 제출, 준공 서류, 공사 사진 촬영
- 품질 관리: 현장 시험실, 품질 시험 기준, 시험 검사 장비 설치 기준
- 기타 공통 사항: 시멘트 모르타르 배합비
자재
- 자재 관련 내용 없음
시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라 한다)에서 발주하는 공사로서, LHCS 10 10 10 05, LHCS 10 10 15등에서 위임된 세부사항 및 건축공사에 적용되는 일반사항에 대하여 규정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 건설기술진흥법
1.2.2 관련 기준
· KCS 41 10 00 건축공사 일반사항
1.3 용어의 정의
· 건설기술인 : 건설기술진흥법(제2조)에서 규정한 건설기술인로서, 국가기술자격법 등 관계법률에 따른 건설공사 또는 건설기술용역에 관한 자격, 학력 또는 경력을 가진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 검사 : 공사계약문서에 나타난 시공 등의 단계 및 자재에 대해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수급인의 확인·검사에 근거하여 검사원이 완성품, 품질, 규격, 수량 등을 확인하는 것
· 검토 : 수급인이 수행하는 중요 사항과 당해 건설공사와 관련한 발주자의 요구사항에 대해 수급인 제출서류, 현장실정 등 그 내용을 담당원이 숙지하고, 담당원의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타당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
· 확인 : 시공자가 공사를 공사계약문서대로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지시, 조정, 승인, 검사 이후 실행한 결과에 대하여 발주자 또는 담당원이 원래의 의도와 규정대로 시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
1.4 제출물
1.4.1 신고 및 승인 관련서류 제출
(1) 수급인은 신고 및 승인과 관련하여 표 1.4-1에 따라 필요한 서류를 제출한다.
표 1.4-1 관련서류
| 구 분 | 부 수 | 제출시기 |
| 착공신고 | 2 | 공사착공 전 |
| 사용승인통보 | 5 | 준공 후 7일 이내 |
1.4.2 준공서류
(1) LHCS 10 10 10 및 LHCS 10 10 35에 의한 준공서류는 표 1.4-2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표 1.4-2 준공서류
| 준공서류 | 관련시방 |
| 말뚝항타기록부 | ․LHCS 11 50 15 05 기성 말뚝기초(타입공법) 및 LHCS 11 50 15 10 기성 말뚝기초(매입공법) |
| 강제셔터 유지관리 지침서 | ․LHCS 41 55 08 강제 셔터 |
| 시스템 욕실 제작도 및 조립도 | ․LHCS 41 80 08 25 시스템 욕실 |
1.4.3 공사 사진촬영 대상부위
(1) LHCS 10 10 05(1.20.1)에 의한 사진촬영 대상부위는 부록 1과 같다.
1.4.4 제품자료 및 견본의 제출 생략
(1) LHCS 10 10 10 05에 따라 각 기준에 명시된 제출물 중 시멘트, 석고보드 등 2개 이상 공종의 기준에 공통으로 명시된 자재로 제품자료 및 견본이 기 제출 및 승인된 자재인 경우, 그 자재에 대한 제품자료 및 견본의 제출은 생략할 수 있다.
1.5 품질관리
1.5.1 현장시험실
(1) 현장시험실의 규모 및 각 공구별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인의 배치기준은 LHCS 10 10 15 및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별표5)에 따른다. 이때 현장시험실은 건축공사현장이 인접한 복수공구지구인 경우 아래와 같이 3개 공구까지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만, 토목통합공구인 경우 LHCS 10 10 05 20의 시험실 설치기준에 따라 통합 설치한다. 시험실 면적산정은 표 1.5-1에 따르며, 시험실 내 사무공간 면적은 포함하지 않는다.
표 1.5-1 시험실 면적
| 구 분 | 시험실 면적 | ||
| 1개공구 | 2개공구통합 | 3개공구통합 | |
| 특급품질관리대상공사 | 50m2 | 65m2 | 80m2 |
| 고급품질관리대상공사 | 50m2 | 65m2 | 80m2 |
| 중급품질관리대상공사 | 20m2 | 30m2 | 40m2 |
| 초급품질관리대상공사 | 20m2 | 30m2 | 40m2 |
1.5.2 품질시험기준
(1) 수급인은 건설공사의 품질확보를 위한 품질시험기준의 적용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제91조제1항에 의거 부록1)에 따라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① 굳지 않은 콘크리트
② 철근,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 타일
③ 부록1에 현장시험 또는 KS 인증제품인 경우에도 품질시험을 실시토록 명시된 자재
(2)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자재일 경우에도 공사감독자(건설사업관리자)가 품질확인이 필요하여 시험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 품질검사대행기관에서 시험할 수 없는 자재 또는 시험종목은 공사감독자(건설사업관리자) 입회하에 공장에서 시험할 수 있다.
1.5.3 시험검사장비 설치기준
(1) LHCS 10 10 15에 의한 현장시험실 내의 시험ᆞ검사장비의 설치기준은 부록 2와 같다. 또한 시험실을 2개 공구 이상 통합 운영하는 경우에는 염화물 측정기, 슬럼프콘, 건조기, 공기량측정기, 몰드, 양생수조 등 시험에 지장이 없도록 필요한 장비를 추가하여야 한다.
(2) 시험장비는 공사감독자(건설사업관리자)와 협의 후 공정별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반입할 수 있다.
(3) 압축강도시험기, 저울, 온도계, 버니어캘리퍼스, 마이크로 메타, 공기량측정기 등 교정검사가 필요한 장비는 국가표준기본법 및 국가교정기관지정제도운용요령에 따라 년1회 이상 국가에서 인정한 KOLAS 공인 국가교정기관의 교정검사를 받아야 한다.
1.5.4 샘플주택 및 견본시공
(1) 샘플주택 시공자재 및 공종
① LHCS 10 10 15에 의한 샘플주택에 시공되는 건축공사 해당 자재 또는 공사종류는 바탕골조공사, 창호 및 창호철물설치, 바닥ᆞ천정ᆞ벽 마감재공사, 유리공사, 실링공사, 가구류 설치공사 등 세대 내의 모든 건축공사로 준공시의 최종마감상태와 동일하게 마감될 수 있어야 한다.
② 샘플주택은 평형별로 1개소씩 시공하되, 접근성을 감안하여 샘플주택세대를 지정하여 그 지정현황을 공사감독자(건설사업관리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견본시공
① LHCS 10 10 15(1.14.2) 를 따른다.
1.5.5 시공확인
(1) LHCS 10 10 15에 의한 주요공사 시공확인 시점 및 공정단계별 주요 검사항목은 부록 3과 같다.
1.6 기타 공통사항
1.6.1 일반사항
(1) 각 공사에 적용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시멘트와 모래의 배합비는 별도의 명시가 없는 경우 용적배합비를 의미한다.
2. 자재
2. 자재
내용 없음
3. 시공
3. 시공
내용 없음
부록
부록1 공사사진 촬영대상 부위
| 공종별 | 부 위 | 비 고 |
| 1. 가설공사 | 가설창고, 사무소, 시험실, 가설울타리 등 가설물 | ․내역수량 참조 |
| 2. 토공사 | 터파기 전,후 지반현황사진 | ․흙막이, 지하수위 등 지내력 확인이 가능토록 전경, 주요부위 촬영 |
| 3. 지정 및 기초 | 말뚝 시항타 | ․관입량, 최종관입량 확인 가능하도록 촬영 |
| 말뚝 본항타 전경 | ․항타 중 보강조치한 사항 | |
| 말뚝 구멍마개 및 두부정리 상태 | ․말뚝철근 기초정착길이 ․말뚝 균열상태 |
|
| 4. 철근․콘크리트 | 기초, 슬래브, 보, 기둥, 옹벽 및 개구부 철근배근상태 | ․배근간격, 피복두께, 이음 및 정착길이, 청소상태 (주1)참조 |
| 형틀 간격재, 버팀대 | ․간격재 및 버팀대의 배치간격 | |
| 콘크리트 양생 | ․보온덮개(가마니 등)배치, 사용상태 | |
| 기초 거푸집 제거 후 | ․기초 규격 | |
| 5. 조적공사 | 모르타르 충전상태 | ․문틀주위, 인방하부, 슬래브 하단, AD 및 PD 내부, 배관주위 |
| 6. 방수․방습공사 | 방수턱 | |
| 담수시험 | ․화장실, 다용도실, 평지붕의 옥상 | |
| 옥상 아스팔트 방수 | ․8층 아스팔트방수 시공단계 | |
| 옥상 누름콘크리트 타설 전 | ․발포폴리스티렌 보온재, 신축줄눈 등의 설치상태 | |
| 7. 단열공사 | 단열재 시공 | ․틈이 생기기 쉬운 취약부위 포함 (창문틀 및 문 주위, 계량기함 주위 등) |
| 8. 온돌마감 | 측면 및 바닥완충재 | |
| 경량기포 콘크리트 | ․타설높이 및 청소상태 | |
| 9. 홈통 및 우수관 | 우수배수관 | ․전경 및 토목배수관 연결부위 |
| 10. 기타 | 현장품질시험 | ․슬럼프, 공시체제작, 압축강도, 씻기 분석시험, 공기량 등 |
| 공사현장과 인접된 건물의 벽 및 담장 |
․날짜를 증명할 수 있도록 촬영 | |
| 설계변경 대상부위 | ․건물벽면 등에 균열이 있는 경우 균열상태 등을 촬영 |
주1) 철근배근 사진촬영 부위 및 정리방법
1. 구조물 확인 부위
부록 1 표 1 아파트 및 일반 건물
| 부위 | 위치 | 비고 | ||
| 기초 | 기둥+기초 | 기둥(벽체)하부 기초 하부근 기둥(벽체)철근 기초 정착 |
지하층 | 동별, 타입별, 배근별 1개소 |
| 벽체 | 토압받는벽체 | 주 ․ 부배근 위치 | 지하층 | 동별, 배근별 1개소 |
| 내부 벽체 | 최상층 슬래브 정착 | 최상층 | 동별, 타입별 1개소 | |
| 슬래브 | 불연속단 | 정착(또는 표준갈고리) | 1층, 중간층주1), 최상층 | |
| 단위세대 | 발코니 및 발코니턱 배근 | 1층, 중간층주1) | ||
| 슬래브+벽체(거실 부위) | 1층, 중간층주1), 최상층 | |||
| 계단 | 계단+벽체 접합부 | 1층, 중간층주1), 최상층 | 동별 1개소 | |
| 기둥, 보 (필로티) |
교차부 | 기둥 + 보(X방향)+보(Y방향) 교차부 보 + Beam 교차부(연속, 불연속단) 필로티 보 + 벽체 |
해당층 | 동별, 타입별, 배근별 1개소 |
| 내 ․ 외부 | 스터럽, 띠철근 첫단위치 및 설치 상태 | |||
주1) 해당동 전체층수의 가운데 층(15층일 경우 7또는 8층)
부록 1 표 2 지하주차장
| 부위 | 위치 | 비고 | ||
| 기초 | 기둥+기초 | 기둥(벽체)하부 기초 하부근 기둥(벽체)철근 기초 정착 |
지하층 | 주차장동별, 배근별 1개소 |
| 벽체 | 토압받는벽체 | 주 ․ 부배근 위치 | 지하층 | |
| 슬래브 | 슬래브 연결 부위 |
슬래브+보+슬래브 연결부위 | 해당층 | |
| 기둥, 보 | 교차부 | 기둥 + 보(X방향)+보(Y방향) 교차부 보 + Beam 교차부(연속, 불연속단) 필로티 보 + 벽체 |
지상층 | |
| 내 ․ 외부 | 스터럽, 띠철근 첫단위치 및 설치 상태 | |||
2. 사진 정리방법
| 좌측 | 우측 |
| 시공상세도면 | 시공(배근) 사진 |
부록2 시험ᆞ검사장비 설치기준
| 시험기구 | 규격 | 수량 | 비고 | |
| 1. 압축강도시험기 | 980kN 이상 (게이지 최소눈금 2kN 이하) |
1 대 | 전동식, 가압판 포함 | |
| 2. 압축강도시험기 | 49kN이하 (감도 10N 이하) |
1 대 | 속도조절 가능한 디지털식 (경량기포콘크리트용) |
|
| 3. 공시체몰드 | φ 10x20cm | 21조 63개 | 25mm 이하 골재인 경우 다짐봉포함 |
|
| 4. 슬럼프콘 | φ 10×20×30cm, 두께1.5mm 이상 |
1 조 | 다짐봉, 받침판 포함 | |
| 5. 잔골재 시험용 체 | 10, 5, 2.5, 1.2 0.6, 0.3, 0.15, 0.08mm | 1 조 | 체가름시험기(현장사용시)는 상하 수평 전동식 사용 | |
| 6. 굵은골재 시험용 체 | 50, 40, 25, 20, 13, 10, 5, 2.5mm | 1 조 | 부순골재 포함 | |
| 7. 저울 | 용량 | 감도 | 1 대 1 대 1 대 |
2kg, 20kg, 60kg은 디지털식 20kg은 수중질량 측정겸용 측정겸용 |
| 2kg 20kg 60kg |
0.1g 이하 1g 이하 10g 이하 |
|||
| 8. 시료분취기 | 쿼타린 캠퍼스 | 1 대 | ||
| 9. 건조기 | 150oC 이상 | 3 대 | 건조용량 50×50×50cm 이상 | |
| 10. 혼합펜 | 100×100×7cm | 1 대 | ||
| 11. 양생수조 | 1.0×2.0×0.8m 이상 | 1 조 | 히터 및 교반장치 포함 | |
| 12. 온도계 | 양생수조용 | 1 개 | ||
| 13. 함수율 측정기 | 목재용 | 1 대 | ||
| 14. 버니어캘리퍼스 | 30cm 이상 | 1 대 | 디지털식 | |
| 15. 마이크로메타 | 1 대 | 디지털식 | ||
| 16. 공기량 측정기 | 1 대 | |||
| 17. 콘크리트 비파괴 시험기 | 콘크리트 테스트해머 | 1 대 | Test Anvil포함 | |
| 18. 염분 측정기 | 프린터기능 내장 | 1 대 | 교정액 포함 | |
| 19. 보온재절단기 | 0∼100V | 1 조 | 열선포함 | |
| 20. 원추형 몰드 | 1 조 | 다짐봉 포함 | ||
| 21. 데시케이터 | 중형, 대형 | 각 1개 | 흡습재 포함 | |
| 22. 금속제 곧은자 및 줄자 | 2m, 3m 이상 | 각 1개 | ||
| 23. 시험대 | 1.0×2.0m 이상 | 1 대 | 견고한 것 | |
| 24. 연소성 시험장치 | KS M 3808 | 1대 | 단열재시험용 | |
| 25. 플로우 시험용 틀 및 유리판 | 틀 80×80mm 판 350×350mm |
경량기포콘크리트 시험용 | ||
| 26. 기포율 시험용 알콜 | 경량기포콘크리트 시험용 | |||
| 27. 큐빅몰드 | 5cm×5cm×5cm 금속재질 |
3조 | 온돌마감 모르타르 압축강도 공시체 제작용 |
|
| 28. 플로우 시험용 틀 | KS L 5111 | 1대 | 온돌마감 모르타르 시험용 | |
| 29. 초자류(플라스크, 메스실린더) | 500ml 1000ml |
각1개 | ||
| 30. 건조도막 두께측정기 | 파괴식 | 1대 | 결로보완용 페인트 건조도막두께 확인 |
|
| 31. 콘크리트, 미장면 함수율 측정기 | 비파괴, 고주파 용량식 | 통합시험실별 1대 |
디지털식 | |
| 32. 투명 아크릴 용기 | 안지름 145mm, 높이 300mm | 1개 | 경량기포콘크리트 시험용 | |
| 33. 기타 | 현장시험에 필요한 부대장비 등 공기구 |
|||
부록3 주요공사 시공확인 시점(건축)
1. 시공확인시점 및 검사범위
| 공 종 | 시공확인(검사) 시점 | 검사범위 |
| 기초공사 | ․기초터파기 완료 후 | ․동별 |
| ․말뚝위치 설치 완료 후 | ․동별 | |
| ․말뚝 두부정리 완료 후 | ․동별 | |
| ․버림콘크리트 타설 및 먹줄놓기 완료 후 | ․동별 | |
| ․기초 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동별 | |
| 철근 콘크리트 |
․먹줄놓기 후 | ․동별 지하층바닥, 1~2층 바닥, 이후 필요시 |
| ․벽체 철근배근 완료 후 | ․동별 지하층, 1~2층, 이후 철근배근이 변화되는 층 |
|
| ․슬래브 거푸집 설치 완료 후 | ․동별 1~2층, 이후 필요시 | |
| ․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동별 매층마다 | |
| 방수공사 (공법별,부위별) |
․시공준비(바탕정리) 완료 후 | ․작업범위별 |
| ․방수완료 후 | ․작업범위별 | |
| 단열공사 | ․바탕정리 및 벽틀(지지핀 등) 설치 후 | ․작업범위별 |
| ․보온재 설치 후 | ․작업범위별 | |
| 창호공사 (목제, PL, 철제 등 재질별) |
․문틀 및 창틀 설치 후 | ․작업범위별 |
| ․문짝 및 창짝, 창호철물 설치 후 | ․작업범위별 | |
| 온돌마감 | ․시공준비(바탕정리) 완료 후 | ․작업범위별 |
| ․완충재 설치 완료 후 | ․작업범위별 | |
| ․경걍 기포콘크리트 타설 후 | ․작업범위별 | |
| ․방바닥미장 준비 완료 후 | ․작업범위별 | |
| 수장공사 (도배 및 바닥재) |
․바탕정리 및 초배지 바름 완료 후 | ․동별 |
| ․정배지 바름 완료 후 | ․동별 | |
| ․바닥재깔기 준비완료 후 | ․동별 | |
| ․바닥재깔기 완료 후 | ․동별 |
주1) 작업범위별 : 전체 물량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현장여건에 따라 몇 개 층씩 분절될 때 이를 하나의 작업범위로 봄.
주2) 주요공사를 제외한 일반공사에 대해서는 월 1회 이상 (또는 기성검사 신청전) 종합시공확인서 작성
2. 공정단계별 주요검사항목
2.1 가설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가설건물 배치 완료 후 |
1. 본건물(공동주택, 부대시설), 도로 및 대지 경계선과의 이격거리 확보 여부 2. 가설건물 위치, 기준 적정여부(가설사무소, 시험실, 창고, 식당, 숙소, 가설변소) 3. 건설공해 방지시설 설치여부 (세륜시설, 방 진막, 소각로) 4. 작업장, 자재적치장 위치선정의 적정여부 5. 연관 공종 공사와의 중복여부 (급수간선, 가스 및 전화관로, 공동구 LINE) 6. 후속공사 착수를 위한 철거시기 검토 (포장, 배수, 조경 및 옥외공사) |
| 건물 배치 완료 후 | 1. 대지경계선 확인 단지배치도상에서 기준점(B.M)위치, 지반고 확인 MAIN 및 보조 기준점(B.M) 설치, 보존 확인 경계명시 측량에 의한 경계점 확인 표지석, 인조점, 보조점 설치 2. 지반 계획고 확인 터파기 전 지반고 현황측량 실시 확인 기초설계도, 대지평면도, 단지배치도상 계획고 확인 3. 건물배치확인 단지 배치도에 의한 건물배치 확인 인동거리, 대지 및 도로 경계선과의 이격거리 확인 전체 단지의 종.횡단 치수 확인 |
2.2 토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기초 터파기 완료 후 | 1. 터파기 심도, 안식각 및 여유폭 확인 2. 공동구 연결부위 위치 및 심도 확인 3. 터파기 주위 가배수로 및 집수정 설치확인 4. 터파기 상단 빗물 유입방지턱 설치 및 법면 보호조치 여부 5. 지반 조사서상 토질과 상이 여부 |
2.3 말뚝기초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말뚝위치 (목심) 설치 완료 후 |
1. 기초 저면 FL 재확인 2. 말뚝 목심위치 확인 보조기준점(B.M)이용 기준점 확인 가설 수평규준틀 사용 종.횡 검측 3. 말뚝 목심 고정상태 확인(변동여부) |
| 말뚝 항타과정 | 1. 말뚝박기 순서 준수여부 2. 말뚝 수직확인 3. 말뚝위치 편차 및 중파균열 여부 확인 4. 말뚝머리 파손방지 조치여부(합판, 가마니) 5. 말뚝 이어박기 및 용접이음 상태 6. 항타 기록부 작성 관리상태 |
| 말뚝 두부정리 완료 후 |
1. 설계위치와 상이할 경우 보강상태 확인 설계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수직 시공이 되지 않는 경우 중파된 경우 말뚝머리가 전반적으로 낮은 경우 말뚝머리가 부분적으로 낮은 경우 말뚝머리가 소요위치보다 낮은 경우 2. 말뚝두부 파손 및 균열확인 3. 두부정리 상태 및 철근 4. 버림 콘크리트 마감선 표시 확인 여장길이 확인 5. 항두막이 접시 고정상태 |
2.4 철근콘크리트
2.4.1 R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기초 버림콘크리트 타설 및 먹줄 놓기 완료 후 | 1. 기초 및 벽체 중심선 확인 2. 버림콘크리트 두께 및 평탄성 여부 3. 말뚝상단 마감 및 항두막이 설치상태 4. 말뚝의 설계위치와 편차 발생시 보강시공 여부 |
| 기초 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1. 동별 지반계수 확인 (기초시공자료에 의거) 2. 기초 철근배근 및 철근결속, 스페이서 설치상태 3. 공동구 연결부위 철근 배근상태 4. 옹벽 수직철근 피복두께 유지 및 이탈방지를 위한 철근 고정상태 5. 기초 거푸집 상단 귀잡이 및 버팀대 설치 여부 6. 바닥과 거푸집 사이 틈 밀봉 확인 |
| 형틀제작 도면검토 | 1. 부위별 거푸집 제작도면 2. 슬라브 보조합판 설치계획 3. 동바리 설치계획 4. 멍에, 띠장 설치계획 |
| 기초 콘크리트 타설과정 | 1. 레미콘 배합보고서 및 송장확인 2. 레미콘 가수여부 확인 3. 콘크리트 타설기준 준수여부 4. 현장품질시험 실시여부 (슬럼프, 염분측정, 공기량, 공시체 제작) 5. 보양재 및 살수시설 준비상태 |
| 기초 거푸집 제거 후 | 1. 거푸집 존치기간 준수여부 2. 콘크리트 상태확인 (재료분리, 균열, 침하) 3. 기초 콘크리트 규격 확인 |
| 벽체 철근배근 완료 후 | 1. 벽체 중심선, 각종 개구부, 박스위치 확인 2. 벽체 수직 및 수평철근 간격 및 수직철근 위치 이탈여부 확인 3. 벽 교차부 배근 및 폭고정근 배치상태 4. 내력벽 단부 띠기둥, 띠철근 보강 5. 각종 벽체 개구부 보강근 확인 6. 벽체 형틀 설치 전 확인 (스페이서, 타공종 매입철물) 7. 결로방지재 규격, 틈새 및 부착상태 확인 8. 고정못 및 부착식 간격재 배치상태 |
| 콘크리트 타설 준비 완료 후 | 1. 조립시 부재규격 및 설치간격 확인 (받침목, 장선, 멍에) 2. 단열홈 및 방수홈 설치상태 3. 매설물 위치확인 (앵커철물, 드레인, 슬리브, 전기박스) 4. 슬래브 철근규격 및 배근간격 확인 5. 개구부 및 각종 슬리브 박스 주위 보강근 배근 상태 6. 옹벽 마구리 청소구멍 설치, 청소상태확인 7. 결로방지재 규격, 틈새 및 부착상태 확인 8. 고정못 및 부착식 간격재 배치상태 |
| 콘크리트 타설과정 | 1. 레미콘 배합보고서 및 송장 확인 2. 현장 품질시험 실시여부 (슬럼프, 염분측정, 공기량, 공시체 제작) 3. 콘크리트 타설순서 준수여부 4. 콘크리트 이어치기의 적정여부 5. 콘크리트 면정리상태 (발코니턱, 복도상단) 6. 보양재 및 살수시설 확인 |
| 거푸집 제거 후 | 1. 거푸집 존치기간 준수여부 2. 콘크리트 상태확인 (재료분리, 균열, 침하) 3. 콘크리트 타설두께 확인 4. 발코니 난간턱 보양상태 확인 5. 결로방지재 상태확인(이음부, 틈, 훼손부위) |
2.4.2 P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기초 버림콘크리트 타설 및 먹줄놓기 완료 후 |
1. 기초 및 벽체 중심선 확인 2. 버림 콘크리트 두께 및 평탄성 여부 3. 말뚝상단 마감 및 항두막이 설치상태 4. 말뚝 설계위치와 편차 발생시 보강시공 여부 |
| 기초 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1. 동별 지반계수 확인 (기초시공자료에 의거) 2. 기초 철근배근 및 철근결속, 스페이서 설치상태 3. 공동구 연결부위 철근배근상태 4. 옹벽수직철근 피복두께 유지 및 이탈방지를 위한 철근고정상태 5. 기초거푸집 상단 귀잡이 및 버팀대 설치 여부 6. 바닥과 거푸집 사이틈 밀봉 확인 |
| 기초 콘크리트 타설과정 | 1. 레미콘 배합보고서 및 송장확인 2. 레미콘 가수여부 확인 3. 콘크리트타설 준수여부 4. 현장품질시험 실시여부 (슬럼프, 염분측정, 공기량, 공시체 제작) 5. 보양재 및 살수시설 준비상태 |
| 기초 거푸집 제거 후 | 1. 거푸집 존치기간 준수여부 2. 콘크리트 상태확인 (재료분리, 균열, 침하) 3. 기초 콘크리트 규격 확인 |
| 지하바닥 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1. 부위별 철근 규격 및 배근간격 확인 2. 철근정착 및 이음길이 확인 3. 보강근 규격 및 위치확인 4. 철근 고임대 및 결손상태 5. 지하바닥과 외벽 접합(이음)부위 시공 조인트 설치여부 확인 |
| 지하바닥 콘크리트 타설과정 | 1. 레미콘 배합 보고서 및 송장 확인 2. 레미콘 가수여부 확인 3. 현장품질시험 실시여부 확인 (슬럼프, 염분측정, 공기량, 공시체 제작) 4. 콘크리트바닥 면정리상태 5. 보양재 및 살수시설 확인 |
| 지하층 바닥 먹줄놓기 완료 후 | 1. 바닥 콘크리트면 상태 (평탄성, 침하, 균열) 2. 벽체의 중심선 및 각종 개구부 위치확인 3. 벽체 수직철근 피복두께 유지 및 위치이탈 여부 4. 수직철근 규격 및 위치확인(내진바, 조인트바) |
| 지하층 벽체 철근배근 완료 후 | 1. 벽체의 중심선 및 각종 개구부, 박스 위치 확인 2. 벽체 수직, 수평철근 간격 및 수직철근의 위치 이탈여부 확인 3. 벽 교차부 배근 및 폭 고정근 배치상태 확인 4. 각종 벽체 개구부 보강근 확인 5. 철근의 이음, 정착 및 결속상태 |
| 1층바닥 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1. 거푸집 조립시 부재규격 및 설치간격 확인 (받침목, 멍에, 장선) 2. 부위별 철근규격 및 배근간격 확인 3. 각종 개구부, 슬래브 및 박스 주위 보강근 배근상태 4. 수직철근(내진바, 조인트바)규격 및 위치 확인 5. 발코니바닥부재 고정용 훅크앵커 및 프레이트 위치 및 설치상태 6. 옹벽 마구리 하부 청소구멍 설치여부 및 청소상태 확인 |
| 1층바닥 콘크리트 타설과정 | 1. 레미콘 배합보고서 및 송장 확인 2. 레미콘 가수 여부 확인 3. 콘크리트 타설순서 준수 여부 4. 현장품질시험 실시여부 (슬럼프, 염분측정, 공기량, 공시체 제작) 5. 콘크리트 바닥 면정리상태 6. 콘크리트 바닥 드레인 주위 구배상태 |
| 거푸집 제거 후 | 1. 거푸집 존치기간 준수 여부 2. 콘크리트 상태 확인 (재료분리, 균열, 배부름, 시공조인트 등) 3. 콘크리트 타설두께 확인 |
2.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C)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반입부재 검사 | 1. 부재고유번호 및 규격별 제조일자 확인 2. 부재 형상의 품질검사 균열, 파손, 변형, 물곰보, 얼룩 기타 형상 및 부재의 치수 확인 3. 파손 부재의 보수상태 4. 파손방지를 위한 보양처리 부재하부 : 육성각재, 고무판 모서리 : 고무판, 철재 보양판 5. 부재 내의 각종 매입물의 설치 및 위치 |
| 벽판 조립준비 완료 후 | 1. 바닥판 평탄성 여부 확인 2. 바닥판 먹줄치기 및 높이조절 라이너 설치상태 확인 3. 충전 콘크리트 및 충전 모르타르상태 확인 (재료분리, 균열, 들뜸) 4. 수직철근(내진바, 조인트바)규격 및 위치고정상태 확인 |
| 조립과정 확인 | 1. Handling Hook의 안전여부 확인 Hook 주변 파손 Hook 유, 무 2. 부재간 지지상태 결합 발생여부, 버팀대 및 가대 설치상태 3. 부재양중 확인, 이동시 장애물등 사전확인 4. 현장 조립순서에 의한 조립 준수 여부 5. 부재조립시 허용오차 준수 여부 |
| 벽판조립 완료 후 | 1. 벽판 조립 설치위치의 정확성 여부 2. 벽판 수직 및 기울기, 비틀림 여부 3. 부재간 지지상태 및 버팀대, 가대 설치간격의 적정여부 4. 각종 매입부품, 창호류, 훅크, 철물 등 위치 5. 단열홈 및 방수턱홈 위치의 적정성 6. 부재 및 형상의 품질검사 (균열, 파손, 물곰보, 얼룩, 기타) |
| 바닥판 조립 완료 후 | 1. 건물의 종,횡(길이, 폭) 검측확인 2. 돌출부(발코니, 복도) 내민길이 확인 3. 바닥판 접합부 줄눈간격의 적정성 확인 4. 바닥판 평탄성 확인 5. 부재 및 형상의 품질확인 (균열, 파손, 물곰보, 얼룩, 기타) |
| 충전용 콘크리트및 모르타르 타설준비 완료 후 |
1. 접합부 철근규격 및 보강근 배근상태 확인 2. 접합부위의 프레이트, 훅크위치의 적정성 여부 3. 용접 및 볼트 접합부위 검사 확인 4. 단열홈 설치상태(위치 및 두께) 5. 거푸집(수직, 수평)지지 및 고정상태 6. 접합부 청소상태 및 거푸집 사이틈 밀봉 확인 |
| 충전용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타설과정 | 1. 사용자재(골재)의 품질여부 확인 2. 콘크리트 배합여부 확인 (물시멘트비, 슬럼프, 단위시멘트량) 3. 콘크리트 다짐 여부 상태 4. 현장품질시험 실시여부 확인 |
| 거푸집 제거 후 | 1. 거푸집 존치기간 준수 여부 2. 충전용 콘크리트 상태 확인 (재료분리, 처짐, 균열) |
2.6 조적공사
2.6.1 R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쌓기준비 완료 후 | 1. 바닥 및 벽체의 각종 먹줄확인 창, 문틀 폭 및 창인방 길이, 높이확인 개구부 배관, 각종 함 위치 방수턱 신축줄눈 위치 2. 부속재료 검토확인 매립 철물류의 규격 및 품질 보온재 규격 및 품질 시멘트, 모래의 품질 3. 개구부주위 수직 규준대 및 규준틀 설치 여부 4. 결로방지재 관리상태(훼손, 탈락) |
| 쌓기 완료 후 | 1. 벽체 수직여부 및 홈벽돌 시공상태 2. 창인방 설치상태(높이, 길이) 3. 신축줄눈 및 배관부위 보강철선 사용여부 4. 교차부, 모서리 및 옹벽과 접합부위 긴결철선 사용여부 5. 상단쌓기시 문틀과 이격거리 확인 6. 문틀하부 조적쌓기 상태 |
2.6.2 P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쌓기 완료 후 | 1. 벽체 수직여부 및 홈벽돌 시공상태 2. 창인방 설치상태 (높이, 길이) 3. 신축줄눈 및 배관부위 보강철선 사용여부 4. 교차부, 모서리 및 옹벽과 접합부위 긴결철선 사용여부 5. 상단쌓기시 문틀과 이격거리 확인 6. 문틀하부 조적쌓기 상태 |
2.7 철골공사(지붕트러스)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지붕틀 받침기둥 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1. 받침기둥 규격 및 설치간격 확인 2. 받침기둥 철근 배근 및 앵커여부 확인 |
| 지붕틀 조립 및 설치 완료 후 |
1. 지붕 구배확인 2. 앵커 플레이트 위치의 적정성 여부 3. 경량 철골 용접상태 확인 4. 경량 천정 볼트 조임상태 확인 |
2.8 금속난간 설치
2.8.1 R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발코니, 복도난간 용접(설치) 완료 후 | 1. 앵커 프레이트와 난간철물의 용접상태 2. 난간류 마감 설치높이 및 수직, 수평상태 확인 3. 구조체와의 이격거리 적정여부 (양측 및 하부턱) 4. 설치 후 상단면 보양상태 |
| 계단난간 용접(설치) 완료 후 | 1. 난간철물 고정 및 용접상태 2. 난간류 마감설치 높이 및 수직상태 확인 3. 계단실 바닥과 이격거리 적정여부 |
| 경량 세대칸막이 용접(설치) 완료 후 | 1. 상하층 수직상태 확인 2. 칸막이 전, 후면 기울기 확인 3. 난간 및 벽체고정 용접상태 4. 난간과 칸막이 이격거리 여부 |
2.8.2 P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발코니, 복도난간 용접(설치) 완료 후 | 1. 매립식 앵커볼트 구조체 고정상태 확인 2. 난간류 마감 설치높이 및 수직, 수평상태 확인 3. 구조체와의 이격거리 적정여부(양측 및 하부턱) 4. 상부 횡주관 및 지지대 마감캡 설치상태 5. 설치 후 상단면 보양상태 |
| 계단난간 용접(설치) 완료 후 | 1. 계단난간 볼트 고정상태 확인 2. 난간류 마감 설치높이 및 수직상태 확인 3. 계단실 바닥과 이격거리 적정여부 4. 난간지지대 마감캡 설치상태 |
| 경량 세대칸막이 용접(설치) 완료 후 | 1. 상하층 수직상태 확인 2. 칸막이 전, 후면 기울기 확인 3. 난간 및 벽체고정 용접상태 4. 난간과 칸막이 이격거리 여부 |
2.9 시멘트 액체방수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시멘트 액체방수 준비 완료 후 | 1. 콘크리트 모체 균열 등 균열부위 보수확인 2. 바닥 드레인 주위 구배확인 3. 바탕면 청소 및 평탄성 여부 |
| 시멘트 액체방수 완료 후 |
1. 화장실 담수시험 확인 2. 세탁실 담수시험 확인 |
2.10 방수 모르타르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방수 모르타르 시공준비 완료 후 | 1. 콘크리트 모체 균열 등 균열부위 보수확인 2. 바닥 드레인 주위 구배확인 3. 바탕면 청소 및 평탄성 여부 |
2.11 고무아스팔트에멀전방수, 개량아스팔트시트방수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 고무아스팔트 에멀전 방수 | 시공준비 완료 후 | 1. 흙, 먼지, 레이턴스 등 불순물 제거 후 청소상태 2. 바탕면 고르기 상태 3. 바탕면 건조상태 |
| 시공 과정 | 1. 시공순서 준수 여부 확인 2. 바탕정리 후 도막시멘트 페이스트 (프라이머) 도포상태 3. 도막시멘트 페이스트(프라이머) 경화 후 고무아스팔트 에멀전 도포상태 4. 에멀전 건조 전 보강포 붙임 여부 확인 |
|
| 방수공사 완료 후 | 1. 부위별 누수여부 확인 지붕 : 담수시험 및 강우 후 확인 복도외벽 : 살수 및 강우 후 확인 발코니, 화장실 : 담수시험 확인 |
|
| 개량아스팔트 방수 | 시공준비 완료 후 | 1. 흙, 먼지, 레이턴스 등 불순물 제거 후 청소상태 2. 바탕면 고르기 및 건조상태 |
| 시공 과정 | 1. 시공순서 준수여부 확인 2. 부위별 사용방수제 품질기준의 적정성 여부 확인 3. 프라이머 도포 및 개량아스팔트 시트 붙이기상태 4. 특수부위의 마무리 상태 (모서리, 드레인, 파이프 주변) |
|
| 방수공사 완료 후 | 1. 누수여부 확인(담수시험 및 강우확인) | |
| 지붕 누름콘크리트 타설준비 완료 후 | 1. 콘크리트 타설 준비사항 확인 레미콘 납품업체 확인 콘크리트 펌프기종, 성능 및 배관상태 2. 누름 콘크리트 타설높이 및 구배확인 3. 신축줄눈 설치간격 및 고정상태 확인 4. 단열재 및 와이어메쉬 시공상태 |
|
| 지붕 누름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 1. 바탕면 평활도 및 균열여부 확인 2. 바탕면 및 드레인주위 구배처리 여부 3. 신축줄눈 설치간격 및 규격의 적정성 여부 4. 신축줄눈 코킹 마감상태 |
|
2.12 실링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부재 접합부 줄눈 실링 완료 후 | 1. 부재간 접합부 마감상태 2. 백업재 및 단열재 충 진여부=> 3. 부위별 실링재 적정 시행여부 확인=> |
2.13 목공사 및 단열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벽틀 및 보온재 설치 후 |
1. 설치간격 및 고정상태 2. 보온재 이음 및 충전상태 3. 전기 박스 주위 보강여부 |
| 천정틀 설치 후 | 1. 설치간격 및 고정상태 2. 달대 및 달대받이 설치상태 3. 천정틀 수평여부 확인 |
2.14 아스팔트슁글 잇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아스팔트슁글 바탕준비 완료 후 | 1. 바탕면 평탄성 및 구배상태 2. 바탕면 건조상태 3. 바탕면 기준 먹줄확인(가로×세로) 4. 동판 플래싱 설치상태 |
| 아스팔트슁글 잇기 완료 후 | 1. 상하, 좌우 겹침여부 상태 2. 슁글고정 및 부착상태 확인 3. 슁글 오염 및 마감상태 |
2.15 홈통 및 우수관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발코니, 복도 선홈통 설치 완료 후 | 1. 상하층 수직상태 확인 2. 선홈통 하부 고정상태 3. 선홈통 길이의 적정여부 확인 |
| 우수배관 및 맨홀설치 완료 후 | 1. 맨홀위치, 개소 및 매설심도 확인 2. 배관의 구배상태 3. 맨홀과 배관 접합부위 마감상태 4. 맨홀뚜껑 손잡이 설치여부 |
2.16 창호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 목제창호 | 문틀 및 창틀 설치 후 |
1. 부재의 수직, 수평, 휨 등 변형여부 2. 벽체와 접하는 부위 방부제 도포상태 3. 문틀 고정철물 설치상태 4. 문틀 수직, 수평 및 전,후면 기울기 확인 5. 문틀 보양상태 6. 문틀 사춤시 배부름 방지(버팀목)조치여부 |
| 문짝 및 창짝, 창호철물 설치 후 | 1. 문짝 뒤틀림, 휨발생 여부 2. 문짝 상,하,좌,우 맞춤상태 3. 문짝 기밀성 여부 및 여닫음 상태 4. 도장면 손상여부 확인 5. 각종 창호철물 설치상태 |
|
| 알루미늄창호 | 문틀 및 창틀 설치 후 |
1. 부재의 수직, 수평, 휨상태 2. 문틀 상,하,좌,우 고정철물 설치여부 3. 문틀 사춤시 배부름 방지(버팀목) 조치여부 4. 문틀 보양 관리상태 |
| 문짝 및 창짝, 창호철물 설치 후 | 1. 문짝 고정 및 파손여부 2. 문짝 기밀성 여부 및 여닫음 상태 3. 각종 창호철물 설치상태 |
|
| 합성수지제창호 | 문틀 및 창틀 설치 후 |
1. 슬래브, 콘크리트 옹벽 고정방법 적정여부 2. 벽돌면 면할시 고정용 철물 사용여부 3. 부재의 수직, 수평, 휨방지 여부 4. 비확장 발코니 실내측 하부 고정철물(평철) 방수턱 밀착시공 여부 |
| 문짝 및 창짝, 창호철물 설치 후 | 1. 문짝 고정 및 파손여부 2. 문짝 기밀성 여부 및 여닫음 상태 3. 각종 창호철물 설치상태 |
|
| 철제창호 | 문틀 및 창틀 설치 후 |
1. 부재의 수직, 수평, 휨 등의 변형여부 2. 문틀 전, 후면 기울기 상태 3. 바닥 마감면 감안 문틀높이 확인 4. 문틀 고정철물 용접상태 |
| 문짝 및 창짝, 창호철물 설치 후 | 1. 문짝 휨발생 여부 2. 문틀주위 고무패킹 설치상태 3. 문짝 기밀성 여부 및 여닫음 상태 4. 각종 창호철물 설치상태 5. 문짝의 보양 관리상태 |
|
| 압출성형틀창호 문틀 및 창틀 설치 후 |
1. 골조와 마감고려 설치높이 확인 2. 창문틀 수직, 수평 및 휨균열 여부 확인 3. 문틀 고정철물 설치상태 4. 부재 접합부위 바인다(접착제) 혼합액 충전여부 5. 외부 이중창 밑틀, 선틀 접합부위 실링상태 6. 문틀 보양 관리상태 |
|
2.17 유리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유리끼우기 완료 후 |
1. 부위별 유리규격 확인 2. 유리절단 및 흔들림 확인 3. 유리 퍼티(가스켓) 밀착여부 상태 |
2.18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
2.18.1 R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내,외벽 초벌바름 완료 후 |
1. 바탕별 배합 및 바름두께 확인 2. 신축줄눈 위치확인 3. 창문틀 주위 받침목 제거 여부 4. 창호 개구부 및 박스 배관주위 메탈라스 설치 상태 5. 수직, 수평면 평활도 상태 확인 |
| 내,외벽 정벌바름 완료 후 |
1. 부위별 마감면 평활도 상태 2. 미장면 들뜸, 균열, 부풀음 및 처짐상태 3. 창문틀 주위 코킹 홈파기 및 마감상태 4. 이질재와 접합부위 줄눈 설치상태 |
| 발코니, 복도두겁 및 난간주위 바름 완료 후 | 1. 복도 및 발코니 마감높이, 수직,수평 확인 2. 난간과 구조체의 이격거리 확인 3. 두겁 상단 미장구배 및 평활도 여부 4. 난간 고정철물 주위 미장면 들뜸, 균열, 평활도 여부 |
| 지하층 벽 및 바닥바름 완료 후 | 1. 바탕면 평활도 및 구배상태 2. 바탕면 균열 및 들뜸상태 3. 바탕면 바름두께 확인 4. 트렌치 집수정 설치 및 배수로 구배상태 |
2.18.2 PC조인 경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내,외벽 초벌바름 완료 후 |
1. 바탕별 배합 및 바름두께 확인 2. 창, 문틀 주위 받침목 제거 여부 3. 창호 개구부 및 박스 배관 주위 메탈라스 설치 상태 |
| 내,외벽 정벌바름 완료 후 |
1. 부위별 마감면 평활도 상태 2. 미장면 들뜸, 균열, 부풀음 및 처짐상태 3. 창, 문틀주위 코킹 홈파기 및 마감상태 4. 이질재와 접합부 마감상태(줄눈파기) |
| 지하층 벽 및 바닥바름 완료 후 | 1. 바탕면 평활도 및 구배상태 2. 바탕면 균열 및 들뜸상태 3. 바탕면 바름두께 확인 4. 트렌치, 집수정 설치 및 배수로 구배상태 |
2.19 테라조 및 인조석 갈기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테라조 및 인조석 바름준비 완료 후 | 1. 기준 먹줄 및 계단실 먹줄확인 2. 바탕면 청소 및 정리상태 3. 드레인 수직상태 확인 4. 종석의 입도, 색상, 배합상태 확인 5. 논슬립, 줄눈대 설치간격 및 구배확인 6. 바탕 고름 모르타르 상태 확인 |
| 테라조 초벌 갈기 후 | 1. 바탕면 평활도 및 구배 2. 테라조 눈먹임 상태 3. 바탕면 균열 및 들뜸 4. 종석 배열상태 |
| 테라조 및 인조석 갈기 완료 후 | 1. 인조석 갈기 및 양생기간 준수 여부 2. 바닥과 벽체 모서리 부위 갈기상태 3. 드레인 주위 갈기 및 구배확인 4. 논슬립 가장자리(좌,우) 따내기 상태 5. 바탕면 균열 및 들뜸확인 6. 바탕면 평활도 및 구배상태 |
2.20 온돌마감
| 공정 단계별 |
부 위 | 주요검사 항목 | |
| 대분류 | 소분류 | ||
| 시공준비 (바탕정리) 완료 후 |
바탕정리 | 바닥/벽 완충재 설치부위 |
1. 돌출부 제거 등 바탕면 평탄하게 정리 2. 바탕면 청소상태 확인 |
| 장비반입구 주위 | 3. 장비반입구 부위 마감 바탕면 평탄 확인 | ||
| 합성수지 창호 및 목제창호 하부 |
4. 비확장 발코니 실내측(거실/침실접합면) 사춤 미장공사 확인 5. 목제창호 밑틀(하부씰) 고정대 위치 및 재질 확인 |
||
| 욕실마블 주위 | 6. 욕실마블 고정시 사춤 수직으로 시공 확인 | ||
| 먹줄놓기 | 벽 | 7. 마감기준선 먹줄놓기 높이 적정여부 확인 | |
| 완충재 설치완료 후 |
측면 완충재 부위 |
합성수지 및 목제창호 하부 |
1. 비확장 발코니 실내측(거실/침실접합면) 측면완충재 설치 확인 2. 벽면과 문틀 접합부위 하부 측면완충재 설치 확인 |
| 욕실마블 주위 | 3. 욕실마블 주위 측면완충재 설치 확인 | ||
| 경량벽체 부위 | 4. 경량벽체 하부 측면완충재 설치 확인 | ||
| 공 통 | 5. 측면완충재 접합 밀착시공 확인(코너부위, 이음부, 벽면 등) 6. 타 공정 간섭부위 등 보완시공 확인 |
||
| 바닥 완충재 부위 |
침실문틀 하부 | 7. 문틀 하부 바닥완충재 밀착 시공 확인 8. 문틀 하부 고정대 부위 등 보완시공 확인 |
|
| 분배기 주위 등 | 9. 분배기 및 배관 부위 등 보완시공 확인 | ||
| 공 통 | 10. 바닥완충재 슬래브와 밀착시공 및 고정 확인 11. 바닥완충재 연결부위 보완시공 확인 12. 타 공정 간섭부위 등 보완시공 확인 |
||
| 경량기포 콘크리트 타설후 |
전 체 | 공 통 | 1. 측면완충재 보다 높게 시공 되지 않도록 확인 2. 바닥완충재 들뜸 확인 3. 타설면 평탄성 확인 4. 문틀 및 벽체 등 오염부위 제거 확인 |
| 방바닥 미장 완료후 |
전 체 | 공 통 | 1. 측면완충재 보다 높게 시공 되지 않도록 확인 2. 바탕면 균열, 들뜸 확인 3. 문틀 및 벽체 등 오염부위 제거 확인 |
2.21 단열모르타르 바름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단열 모르타르 바름 완료 후 | 1. 단열 모르타르 바름두께 확인 2. 바탕면 평활도 및 균열, 들뜸, 처짐 확인 |
2.22 타일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주방 및 화장실 벽타일 완료 후 | 1. 타일면 평활도 및 정밀시공 여부 2. 타일 접착 및 줄눈 파기상태 3. 타일 붙임면 모르타르 충전상태 4. 타일 들뜸 및 균열상태 5. 시공순서 및 나누기도와의 일치여부 6. 줄눈크기 확인 |
| 화장실, 발코니 및 현관 바닥타일 완료 후 | 1. 바탕면 평활도 및 구배 유지여부 2. 타일 접착 및 줄눈 마감상태 3. 타일 들뜸 및 균열상태 4. 시공순서 및 나누기도와의 일치여부 |
2.23 석고보드 및 시멘트판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벽 및 천정 석고보드설치 후 |
1. 마감자재 수직, 수평 고정상태 2. 마감자재 정밀시공 상태 3. 고정용 못의 간격 4. 마감재 고정상태 5. 고정용 못의 녹발생 여부 6. 석고본드 시공상태 |
2.24 도장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도장공사 착수전 | 1. 퍼티재질의 적정성 2. 바탕정리 상태 3. 보양상태 |
| 내부,외부 및 기와 초벌칠 완료 후 | 1. 이질 페인트 겹침시공 여부 2. 칠순서 및 횟수 준수여부 확인 3. 연마 및 눈먹임상태 확인 4. 부위별 색상 마감계획 확인 |
| 내부,외부 및 기와 정벌칠 완료 후 | 1. 초벌칠 후 건조시간 준수 여부 2. 칠횟수 준수 여부 3. 도막두께 및 마감상태 4. 이질 페인트 겹침시공 여부 5. 부위별 색상마감 한계선 일치여부 6. 도장면 변색, 들뜸, 흠집, 거품 등 오염 여부 |
| 목부 초벌칠 완료 후 |
1. 칠순서 준수여부 확인 2. 샌딩 후 우드프라이머 도장상태 3. 바탕면 눈먹임 연마상태 4. 칠 종류별 재료확인 |
| 목부 정벌칠 완료 후 |
1. 초벌칠 후 건조시간 준수 여부 2. 칠 도막두께 확인 3. 칠횟수 준수 여부 4. 도장 후 마감상태 |
| 철부 초벌칠 완료 후 |
1. 바탕면 녹막이 도료상태(들뜸) 2. 용접부위 슬래그 제거 및 연마상태 3. 바탕면 유해 부착물 제거 상태 |
| 철부 정벌칠 완료 후 |
1. 칠 도막두께 확인 2. 칠횟수 준수 여부 3. 도장 후 마감상태 |
2.25 합성고분자계 바닥타일류 및 시트류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바닥재 깔기 완료 후 | 1. 연결부위 맞댄이음 여부 2. 이색 및 변질여부 3. 바탕면 접착상태 4. 나누기도 적정 시행여부 5. 굽도리 시공상태(올림시공 : 5cm) 6. 출입구 주변 접착제 전면 도포 여부 (밀림방지) |
2.26 도배공사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초배지 시공전 | 1. 몰딩 및 걸레받이 시공상태 2. 바탕면 요철제거 상태 3. 녹발생 방지조치 상태 |
| 초배지 바름 완료 후 | 1. 바탕면 평활도 확인 2. 석고보드 이음부위 초배상태 3. 초배 시공 후 바탕 연마상태 4. 초배지 누락 및 건조상태 5. 석고보드 고정못(녹방지)자재 사용여부 및 못 간격(15㎝ 이내) 확인 |
| 정배지 바름 완료 후 | 1. 동일색상 무늬 맞춤 및 겹침상태 2. 구석 모서리 갓둘레 들뜸 여부 3. 도배지 변색 오염 4. 마감선의 수직, 수평 확인(문틀주위 천정, 벽 모서리 부위) 5. 걸레받이 및 반자돌림 부착상태 |
2.27 수납가구 설치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신발장 및 각종 수납장 설치 완료 후 | 1. 신발장 및 각종 수납장 설치시 위치 및 수직, 수평확인 2. 문짝의 여닫음 및 정첩 고정용 나사못의 정밀시공 여부 3. 오염 및 문짝 파손 등 성능 이상유무 확인 |
2.28 주방가구 설치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주방가구 설치 완료 후 |
1. 주방가구 설치시 위치 및 수직, 수평확인 2. 벽체 상부장 고정상태 3. 주방가구 문짝의 여닫음 및 정첩 고정용 나사못의 정밀시공 여부 4. 오염 및 문짝 파손 등 성능 이상유무 확인 |
2.29 시스템 욕실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욕실본체 설치준비 완료 후 |
1. 건축 기준선 및 욕조먹선 설치 확인 2. AD, PD 조적쌓기 및 천정 초벌미장 상태 3. 슬리브 위치 확인 |
| 욕실본체 설치 완료 후 |
1. 바닥 조립 모르타르 수평확인 2. 조립식 욕실 수평유지 및 안착여부 3. 설비 입상관과 오.배수 트랩의 배관과 구배상태 4. 횡주관 연결구의 고무링 사용여부 5. 연결배관 행거 수직.수평 여부 6. 오.배수관 방음 보온여부 7. 벽판 고정상태 |
| 위생기구 부착 완료 후 |
1. 기구류 고정상태 2. 실링재 충전상태 3. 문의 여닫음 상태 4. 통수 후 배관 누수여부 |
2.30 기타
| 공정단계별 | 주요검사항목 |
| 준공청소 완료 후 | 1. 유리닦기 및 문틀 청소상태 2. 화장실, 발코니 물청소 여부 3. 계단실, 복도 왁스 마감상태 4. 청소 후 보양 관리상태 |
부록4 승인 및 신고 제품 목록
| 공사명 | 분야 | 대상 품목 | 승인 | 신고 | 비고 |
| 철근 콘크리트 |
콘크리트 | 가. 혼화재료 나. 콘크리트 양생재 다. 콘크리트 결함부 보수재료 라. 시멘트 마. 레미콘공장선정 및 배합표 |
O |
O O O O |
|
| 철근 | 가. 철근 나. 철근 고임대 및 간격재 |
O |
O |
||
| 데크플레이트 공법 | 가. 데크플레이트 | O | |||
| 거푸집 | 가. 거푸집패널 구성재 나. 동바리 다. 긴결재 라. 박리제 마. 면목 바. 매립형철망거푸집 사. 옹벽거푸집 수평고정장치 |
O O O O O O O |
|||
| 콘크리트면 균열보수 | 가. 주입용 에폭시 수지 나. 기타 보수자재 |
O O |
|||
| 프리캐스트콘크리트 | 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나. 시멘트 다. 철근 |
O O |
O |
||
| 경량기포콘크리트 | 가. 기포제 나. 시멘트 다. 혼화재료 |
O O O |
|||
| 지정및 기초공사 |
말뚝기초 | 가. 기성말뚝 | O | ||
| 말뚝선굴착공법 | 가. 기성말뚝 나. 시멘트 |
O |
O |
||
| 현장타설말뚝 | 가. 콘크리트 나. 보강재 |
O |
O |
||
| 철골공사 | 철골공사 | 가. 각종 구조용 강재 나. 고력볼트, 스터드볼트, 턴버클, 앵커볼트, 너트 및 용접재료,고력볼트에 대한 공장검사성적표 다. 무수축 모르터 라. 녹막이칠 |
O |
O O O |
|
| 조적공사 | 벽돌공사 | 가. 콘크리트벽돌, 홈벽돌, 연소재벽돌 나. 점토벽돌 다. 건조시멘트 모르터 라. 시멘트 마. 모래 바. 압출성형인방재 |
O O O O O O |
||
| 내화벽돌공사 | 가. 내화벽돌 나. 내화모르터 |
O O |
|||
| 블록공사 | 가. 블록 나. 건조시멘트 모르터 다. 시멘트 |
O O O |
|||
| 조적공사 | 콘크리트 스플릿블록공사 | 가. 블록 나. 건조시멘트 모르터 다. 시멘트 라. 안료 |
O O O O |
||
|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럭공사 | 가.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록 나. 모르터 다. 시멘트 라. 현장 발포우레탄폼 |
O O O O |
|||
| 유리블록공사 | 가. 유리블록 및 보강철물 나. 백색 시멘트 |
O O |
|||
| 경량기포 콘크리트패널공사 | 가.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록 나. 모르터 다. 시멘트 라. 현장 발포우레탄폼 마. 실링재 바. ALC 전용마감재 |
O O O O O O |
|||
| 미장공사 | 시멘트모르터바름 | 가. 시멘트 나. 건조시멘트 모르터 |
O O |
||
| 단열모르터바름 | 가. 단열모르터 | O | |||
| 온돌마감 | 가. 시멘트 나.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다. 바닥완충재 라. 팽창제 마. 수축저감제 바.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사. 피막양생제 아. 경랑기포 콘크리트 |
O |
O O O O O O O |
||
| 온돌마감 (기포콘크리트 첨가제) |
가. 시멘트 나. 팽창제 다. 수축저감제 라.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마. 피막양생제 바. 경랑기포 콘크리트 사. 기포콘크리트 첨가제 |
O O O O O O O |
|||
| 일체형완충재 | 가. 일체형완충재 | O | |||
| 외단열공법 | 가. 외벽단열마감 시스템 | O | |||
| 테라조 및 인조석 갈기 | 가. 시멘트 나. 백색시멘트 다. 종석 라. 줄눈대, 재료분리대 및 논슬립 |
O O O O |
|||
| 현장 테라조 건식 갈기 | 가. 시멘트 나. 백색시멘트 다. 혼화재, 접착제, 표면강화제 라. 종석 마. 줄눈대, 재료분리대 및 논슬립 |
O O O O O |
|||
| 바닥강화재바름 | 가. 바닥강화재 | O | |||
| 창호주위충전 | 가. 시멘트 나. 충전용 발포우레탄 |
O O |
|||
| 방수 방습공사 |
아스팔트방수 | 가. 아스팔트 프라이머 나. 아스팔트 다. 아스팔트 루핑 라. 아스팔트 펠트 마. 신축 줄눈재 바. 실링재 사.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방수층 보호재 |
O O O O O O O |
||
| 합성고분자계시트방수 | 가. 합성고분자계 시트 | O | |||
| 개량아스팔트시트방수 | 가.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 | O | |||
| 고무아스팔트 시트 2중방수 |
가. 고무화수지 아스팔트 나. 부직포부착 개량아스팔트시트 |
O O |
|||
| 폴리우레탄 시트방수 | 가. 폴리우레탄 시트 | O | |||
| 도막-시트 일체형 복합방수 | 가. 도막-시트 일체형 복합방수재 나.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 다. 실링재 라. 보강포 마. 우레탄 도막 방수제 |
O O O O O |
|||
| 합성고분자계 보강 복합형 시트방수 | 가. 합성고분자계 보강 복합형 방수시트 나. 우레탄 도막 방수제 |
O O |
|||
| 자착형 시트방수 | 가. 자착형 방수시트 나. 덧붙임용 시트 |
O O |
|||
| 점접착 EVA 복합 시트방수 | 가. 점접착 EVA 복합방수 시트 나. 실링재 |
O O |
|||
| 단열 보완형 PVC 복합방수 | 가. 단열 보완형 PVC 방수시트 나. 실링재 다. 접착제 라. 우레탄 도막 방수재 마. 보강포 |
O O O O O |
|||
| 도막방수 | 가. 고무아스팔트 에멀젼 방수재 나. 우레탄 도막 방수제 |
O O |
|||
| 시멘트액체방수 | 가. 방수제 나. 시멘트 |
O O |
|||
| 방수모르터 | 가. 방수제 나. 시멘트 |
O O |
|||
| 실링공사 | 가. 각종 실링재 | O | |||
| 목공사 | 일반목공사 | 가. 목재 나. 합판 다. 철물 |
O O O |
||
| 의장목공사 | 가. 커튼박스 및 커튼레일 나. 반자돌림, 재료분리대, 걸레받이, 문선, 접착제 (단, 문선은 지급자재가 아닌 경우) 다. BMC마루귀틀, BMC재료분리대 라. 입체성형 인조대리석 마루귀틀, 입체성형 인조대리석 재료분리대 마. PVC 시트 |
O O O O O |
|||
| 금속공사 | 금속난간설치 | 가. 금속난간 나. 경량세대칸막이 다. 발코니 화분대 라. 용접봉 |
O O O O |
||
| 기타금속공사 | 가. 각종 제작물의 제작용 강재 나. 철제그레이팅 다. PD점검구 라. 접합철물 |
O O O O |
|||
| 지붕 및 홈통공사 | 기와잇기 | 가. 기와 | O | ||
| 아스팔트슁글잇기 | 가. 아스팔트 슁글 나. 플래싱 및 처마거멀띠 |
O O |
|||
| 지붕 및 홈통공사 | 금속기와잇기 | 가. 금속기와 나. 각형각관, 고정못, 세트앙카 |
O O |
||
| 홈통 및 우수관 | 가. 선홈통 나. 드레인 다. 선홈통받이 및 우수맨홀 라. 지중우수관 |
O O O O |
|||
| 창호 및 유리공사 | 목제창호 | 가. 목제창호 나. 크레오소오트유 다. 발수제 |
O O O |
||
| 강제창호 | 가. 강제창호 | O | |||
| 알루미늄합금제창호 | 가. 알루미늄 창호 | O | |||
| 창호용 방충망 | 가. 창호용 방충망 | O | |||
| 합성수지제창호 | 가. 합성수지제 창호 | O | |||
| 강제셔터 | 가. 자동방화셔터, 나. 스테인레스파이프 그릴셔터 |
O O |
|||
| 창호철물 | 가. 창호철물 나. 문틀하부 실 |
O O |
|||
| 유리공사 | 가. 판유리 나. 강화유리 다. 배강도유리 라. 복층유리 마. 실링재, 세팅블록 및 측면블록 |
O O O O O |
|||
| 폴리카보네이트시트 | 가.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 O | |||
| 타일 및 돌공사 | 타일공사 | 가. 타일 나. 접착제 다. 시멘트 라. 백색 시멘트 마. 혼화제(혼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
O |
O O O O |
|
| 돌깔기 | 가. 화강석 나. 시멘트 |
O O |
|||
| 테라조판붙이기 | 가. 테라조판 | O | |||
| 칠공사 | 칠공사 | 가. 도장재 | O | ||
| 수장공사 | 합성고분자계 바닥 타일류 및 시트류 |
가. 륨 카펫 나. 바닥 시트류 다. 비닐합성타일 |
O O |
O |
|
| 석고보드 및 시멘트판 | 가. 바탕벽틀 나. 석고보드 및 방수석고보드 다. 섬유강화시멘트판 라. 접착제 마. 못, 나사못 등의 고정철물 |
O O O O O |
|||
| 경량콘크리트 패널공사 | 가. 경량콘크리트 패널 | O | |||
| 수장공사 | 경량철골천정 | 가. 경량철골 천정틀 나. 석고보드 다. 치장 석고시멘트판 라. 내장용 PVC패널 마. 칼라알루미늄 천정재 |
O O O O O |
||
| 도배공사 | 가. 도배지, 장판지 나. 접착제 |
O |
O |
||
| 단열공사 | 가. 발포폴리스티렌 보온재 나. 유리면 보온재 다. 폴리에스터 단열재 |
O O O |
|||
|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공사 |
가. 복합단열재 | O | |||
| 바닥,측면완충재 공사 | 가. 바닥완충재 나. 측면완충재 |
O |
O |
||
| 온돌마루재 | 가. 온돌마루재 나. 접착제 다. 부자재(PE폼, PE필름, 프로파일, 걸레받이) |
O |
O O |
||
| 중형복합패널설치 | 가. 중형복합패널 | O | |||
| 기타공사 | 수취함설치 | 가. 우편함 및 세대수취함 | O | ||
| 수납가구설치 | 가. 수납가구류 | O | |||
| 주방가구설치 | 가. 주방가구 | O | |||
| 표시판설치 | 가. 표시판의 재질 | O | |||
| 화장실칸막이설치 | 가. 화장실 칸막이 | O | |||
| 조립식욕실 | 가. 벽판, 바닥판, 천정판 등 본체 구성재 나. 욕조, 세면기, 변기 및 그 부속품 일체 다. 수건걸이 라. 휴지걸이 마. 화장경 바. 타일 사. 혼합수전 아. 욕실수납장 자. 문틀 및 문짝 차. 도어록, 경첩 및 도어스토퍼 카. 컵받침대, 비누받침대 타. 욕실 환풍기 일체 |
O |
O O O O O O O O O O O |
||
| 무전원흡출기설치 | 가. 무전원 흡출기 | O | |||
| ACCESS FLOOR 설치 | 가. ACCESS FLOOR | O | |||
| 바닥문양 콘크리트 | 가. 박리제 나. 문양고무매트 |
O O |
|||
| 자연환기구설치 | 가. 구조체 설치형 환기구 나. 창호형 환기구 다. 시스템 루버 라. 현관문용 포켓 환기구 |
O O O O |
출처





'시방서 > LHCS LH시방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H 시방서 정보통신공사안전관리 LHCS 10 10 05 60:2020 (0) | 2024.04.05 |
|---|---|
| LH 시방서 토목공사일반 LHCS 10 10 05 20:2020 (0) | 2024.04.04 |
| LH 시방서 정보통신공사하도급관리 LHCS 10 10 05 15:2020 (0) | 2024.04.04 |
| LH 시방서 전기공사하도급관리 LHCS 10 10 05 10:2020 (0) | 2024.04.04 |
| LH 전문시방서 공통공사 건설공사하도급관리 LHCS 10 10 05 05:2020 (0)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