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연결살수 설비공사 KCS 31 80 45 :2024란?KCS 31 80 45 :2024는 연결살수 설비공사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연결살수 설비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 관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연결살수 설비 구축을 위한 표준을 제시합니다. 연결살수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소방수를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화재 진압을 돕는 중요한 시설이며, 이 시방서는 연결살수 설비의 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연결살수 설비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기준KCS 31 80 05(1.2) 에 따른다.1.3 용어의 정의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
연결송수관 설비공사 KCS 31 80 40 :2024란?KCS 31 80 40 :2024는 연결송수관 설비공사에 대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의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연결송수관 설비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보수에 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여 연결송수관 설비의 안전성, 신뢰성, 내구성을 확보하고 건설 현장에서 일관성 있는 품질 관리를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연결송수관 설비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기준KCS 31 80 05(1.2)에 따른다.1.3 용어의 정의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을 참조한다.2. 자재2.1 방수구 기구함(1) 함의 재질은 두께가 1.5mm 이상의 강판으로 하고 방식처리를 한다.(2) 함의 문짝은 1.5..
소화용수 설비공사 KCS 31 80 35 :2024란?KCS 31 80 35:2024는 소화용수 설비 공사에 대한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표준 시방서는 소화용수 설비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하여 소방 시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해당 표준 시방서는 소화용수 공급원, 펌프, 배관, 밸브, 소화전 등 소화용수 설비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요구 사항과 시험 및 검사 기준을 명확히 규정합니다. 또한, 소화용수 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유지관리 지침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화용수 설비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소화 활동을 가능하게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소화용수설비공사에 ..
포소화설비공사 KCS 31 80 30 :2024란?KCS 31 80 30 :2024는 한국건설생산기술연구원(KICT)에서 제정한 "포소화설비공사"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소화설비 중 하나인 포소화설비 공사의 시공, 검사, 유지관리 등에 대한 상세한 기준과 지침을 담고 있습니다. 즉, 포소화설비 설계, 자재, 시공, 검사, 시운전, 유지관리 등 전반적인 공정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구사항과 안전 규정을 명시하여 포소화설비 공사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포소화 설비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기준KCS 31 80 05(1.2)에 따른다.1.3 용어의 정의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을 참조한다.2. 자재2...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KCS 31 80 15 :2024란?KCS 31 80 15 :2024는 건설 표준 시방서로, 소화전 설비 공사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소화전 시스템의 설계, 시공, 검사, 유지보수 등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소화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상세한 요구 사항과 절차를 명시하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스프링클러 설비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기준KCS 31 80 05(1.2)에 따른다.1.3 용어의 정의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을 참조한다.2. 자재2.1 헤드2.1.1 스프링클러 헤드(1) 폐쇄형헤드는 본체, 프레임, 디플렉터 및 감열기구 등으로 구성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설치장소의 상황에 따라 적합..
옥내 및 옥외 소화전 설비공사 KCS 31 80 10 :2024란?KCS 31 80 10 :2024 "옥내 및 옥외 소화전 설비공사"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을 위한 소화전 시스템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 관리에 대한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표준은 소화전의 종류, 설치 위치, 배관, 밸브, 펌프, 호스, 노즐 등 소화전 시스템의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적인 요구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화전 시스템의 성능, 안전, 내구성,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검사 기준과 유지 관리 지침도 제시합니다. 이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건축물의 화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옥내소화전 및 옥외소화전 설비..
소방기계설비 공통공사 KCS 31 80 05 :2024란?KCS 31 80 05 :2024는 소방기계설비 공통공사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소방기계설비 공사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사항과 설계, 시공, 검사, 유지관리 등의 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소방기계설비 공통공사의 안전성, 신뢰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인 기준과 지침을 제공하여 소방 시설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표준을 제시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소화설비공사는 소방기본법(법, 시행령, 시행규칙), 소방시설공사업법(법, 시행령, 시행규칙),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위험물안전관리법(법, 시행령, 시행규칙), 공공기관의..
GFRP 보강근용 콘크리트교 공사 KCS 24 50 05 :2024란?KCS 24 50 05 :2024는 GFRP 보강근을 사용한 콘크리트 교량 건설에 대한 한국건설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GFRP 보강근의 종류, 성능, 시공 방법, 품질 관리, 검사 및 시험 등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견고한 교량 건설을 위한 표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GFRP 보강근은 기존 철근에 비해 부식에 강하고 경량이며, 내구성이 뛰어나 교량 건설에 적합한 재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시방서는 GFRP 보강근을 사용한 콘크리트 교량 건설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교량 건설을 가능하게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GFRP 보강근으로 철..
노면 복공 KCS 21 45 10 :2024란?KCS 21 45 10 :2024는 한국건설생산기술 연구원에서 발행한 건설 표준시방서로, "도로 포장 - 복공"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시방서는 도로 포장 공사 중 발생하는 각종 구조물이나 시설물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노면의 복공 구간에 대한 시공 방법, 재료, 품질 관리 기준 등을 상세하게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도로 포장 공사 중 발생하는 복공 구간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지하철, 교량 및 터널 등의 토목공사에 수반되는 노면 복공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 KCS 14 31 20 용접· KCS 21..
가설교량 KCS 21 45 05 :2024란?KCS 21 45 05:2024는 가설교량에 대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의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가설교량의 설계, 시공, 검사, 유지관리 등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교량의 종류, 재료, 하중, 안전성, 시공 방법, 검사 기준, 유지관리 계획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건설 현장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가설교량 건설을 위한 표준 지침 역할을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지하철, 교량 및 터널 등의 토목공사에 수반되는 가설교량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 KCS 21 10 00 가설공사 일반사항· KCS 21 30 ..
가설흙막이 공사 KCS 21 30 00 :2024란?KCS 21 30 00:2024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 제정한 "가설흙막이 공사"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가설흙막이 공사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가설흙막이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흙막이 구조물의 종류, 설계 기준, 시공 방법, 안전 관리, 검사 및 시험, 유지관리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공사의 품질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설흙막이 설계기준 가이드 가설흙막이 공사 KCS 21 30 00 :2024란?KCS 21 30 00:2024 "가설흙막이 공사"는 건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