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토류구조물(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20 :2023란?KCS 24 51 20 :2023 "토류구조물(한계상태설계법)" 건설 표준시방서는 토류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문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하여 토류구조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요구사항 및 시공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토류구조물의 안정성 평가, 재료 선정, 시공 과정, 검사 및 관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포함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토류구조물 건설을 위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토류구조물로 시공되는 콘크리트옹벽, 철근콘크리트옹벽, 석조 중력식옹벽, 널말뚝벽과 엄지말뚝 토류벽, 그리고 보강토 옹벽에 대한 시공..
감쇠장치(한계상태설계법) KCS 24 41 35 :2023란?KCS 24 41 35 :2023은 한계상태설계법(LSD)을 적용한 감쇠장치에 대한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감쇠장치의 설계, 제작, 시공 및 검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며,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쇠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적용됩니다. 특히, 이 시방서는 감쇠장치의 종류, 성능, 설치 방법, 검사 기준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감쇠장치가 구조물의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내진보강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점성감쇠장치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에 적용한다.(2)점성감쇠장치 이외의 감쇠장치의 시공과 관련된 사항은 이 기준 3. 시공에 준하여 적용할 수 있다.1.2 참고 기준1...
충격분산장치(한계상태설계법) KCS 24 41 30 :2023란?KCS 24 41 30:2023은 건설 표준 시방서로서, 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여 구조물에 충격을 분산시키는 장치에 대한 설계 및 시공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충격 분산 장치의 종류, 재료, 설계 기준, 시공 방법, 검사 및 시험 등을 상세히 다루며,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충격분산장치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2)충격분산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진 해석을 통한 구조물의 거동특성과 장치의 거동 특성을 확인하고 사용 적합성 여부에 대하여 감독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기준● KS B IS..
교량받침 KCS 24 40 05 :2023란?KCS 24 40 05:2023은 한국건설생산기술원에서 발행한 "교량받침"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교량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의 종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에 대한 상세한 기준과 지침을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다양한 유형의 교량받침, 설치 방법, 성능 요구 사항, 검사 기준 등이 포함됩니다. 이 시방서는 교량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설계자, 시공자, 감독자 및 검사원에게 교량받침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교량받침의 품질관리 및 시공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에 적용한다.(2) 이 기준이 적용되는 받침 형식으로는 탄..
강구조(한계상태설계법) KCS 24 31 05 :2023란?KCS 24 31 05:2023은 강구조물 설계에 사용되는 한계상태설계법에 대한 한국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건축물, 교량, 탑과 같은 강구조물의 안전성과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 관리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한계상태설계법을 사용하여 강구조물의 하중 및 응력을 분석하고, 구조물이 예상되는 하중 조건 하에서 안전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KDS 24 00 00에 따라 설계한 강도로교 및 강과 콘크리트의 합성 도로교의 제작 및 가설에 적용한다.(2)이 기준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은 당해 공사의 공사시방서에 따른..
안녕하세요 이번에 다룰 주제는 비탈면 내진설계 기준 입니다. [자료 모음] 하단의 사진을 클릭하시면 KDS 건설 설계기준 자료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방서 요약 목적 지진으로 인한 비탈면 파괴와 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내진설계 요구조건 제시 적용범위 내진설계가 필요한 건설 공사에서 발생하는 비탈면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이 있는 경우 해당 기준 우선 적용 설계고려사항 대상 비탈면: 주 구조물 안전과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비탈면 내진등급: 주 구조물의 내진등급에 따라 내진특등급, 내진Ⅰ등급, 내진Ⅱ등급 적용 내진성능수준: 붕괴방지수준 설계지반운동 수준: KDS 17 10 00 준수 내진성능목표: 내진등급별 최소 목표 만족 조사 및 계획 지진응답특성 및 액상화 저항성 평가를 위한 지반조사 실시 ..
안녕하세요 이번에 다룰 주제는 비탈면 보강 설계 기준 입니다. [자료 모음] 하단의 사진을 클릭하시면 KDS 건설 설계기준 자료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방서 요약 네일 안정성 고려: 전체 안정성, 네일 내적 안정성, 전면벽체, 배수시설 내적 안정성 해석: 재료 파단, 인발파괴, 전단저항력 고려 전면벽체 설계: 휨파괴, 국부 전단파괴 검토, 하중 산정 고려 배수시설: 계절적 지하수위, 지표 침투, 상부배수시설 누수 고려 록볼트 안정성 고려: 전체 안정성, 보강재 인장강도 파괴면 각도 고려한 저항력 산정 록볼트 길이: 탈락 예상 암반구간 안정화 고려 억지말뚝 안정성 고려: 전체 안정성, 내적 안정성 (모멘트, 전단), 수동파괴 내적 안정성 해석: 저항모멘트, 전단저항력, 최대모멘트, 최대전단력 산정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