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부도위험 찌라시 이유
2024년 달라지는 교통관련 예산
가덕도 신공항이란?
부산 근처의 동남권 관문 공항의 역할을 하고 있는 공항은 김해공항입니다. 하지만 도심지 내에 위치하여있기에 24시간 관문공항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점과, 산으로 둘러쌓인 지형적 문제로 인하여 대형 항공기가 이착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가덕도신공항은 공항건설에 총 13.49조원을 투입하여 대형화물기(B747-400F 등) 이착륙이 가능한 3,500m의 활주로를 건설하는 등 심야시간대에도 운영이 자유로운 국제공항으로 건설됩니다.
물류 허브 공항 가덕도 신공항
가덕도 신공항의 위치는 부산 항만 물류와 연계하기 좋은 입지로 항공화물과 해운화물의 연계를 어떻게 살리냐에 따라서 전 세계적인 물류 이동 요충지가 될 수 도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가덕도신공항은 항공화물수요의 처리를 위한 화물터미널 1.72만㎡(건축연면적) 및 화물 관련 시설 부지로 9.8만㎡를 조성하고, 장래 화물수요 증가에 대비한 시설 확장 부지 4.7만㎡도 확보한 상태입니다.
항공물류, Sea & Air 항공복합물류 활성화를 위한 특화 단지 등의 입주가 가능한 지원시설부지 126만㎡(축구장 약 180개 규모)도 별도로 조성하여 부산항 신항과 연계한 물류중심 공항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안전한 스마트 가덕도 신공항
가덕도신공항은 정밀계기접근*(Cat-Ⅲ)이 가능한 항행안전 및 항공등화 등의 공항시설을 설치하여 항공안전 확보는 물론, 항공기 운항 정시성을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 활주로 중심선, 착륙 각도(3°), 활주로에서 항공기까지 거리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항공기가 활주로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해상에 건설되는 만큼, 태풍(해일)등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100년 빈도의 심해설계파*를 적용하여 방파호안을 설계하였으며
* 항만·해양 구조물 설계를 위해 해양수산부에서 제시한 파향별, 빈도별(10년, 20년, 30년, 50년, 100년) 파고로서, 구조물 안전 확보를 위하여 파고값이 가장 큰 100년 빈도의 파고를 적용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단계에서 지형측량 결과 등을 적용한 BIM* 모델을 마련하고, 설계·시공·운영에 걸친 모든 단계에 BIM을 적용하여 건설 중 안전·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객 동선분석, 시설물 유지관리 등 이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계획이라고 합니다.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3D 모델을 기반으로 건축·토목 등 모든 건설분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 등 전 생애주기 동안 적용되는 정보를 생산, 관리하는 기술
가덕도 신공항 접근 교통망 확충
신공항 이용객의 접근 편리성 확보를 위해 가덕대교~신공항까지 접근도로와 부산신항철도와 신공항을 연결하는 공항철도를 건설한다고 합니다. 또한, 해상을 통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양수산부, 부산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연안여객터미널 설치도 추진할 계획이며, 미래 모빌리티인 도심항공교통(UAM) 인프라(버티포트) 구축을 위한 부지도 기본계획에 반영하였다고 합니다.
가덕도 신공항 시설배치도 및 시설규모
가덕도 신공항 시설규모는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구 분
|
시설규모
|
구 분
|
시설규모
|
|
활주로
|
3,500m × 45m, 1개
|
접근교통
|
도로
|
연장 9.3km
|
유도로
|
평행유도로 2개,
고속탈출 6개, 직각 4개
|
|||
철도
|
16.5Km
|
|||
계류장
|
1,006,431㎡, 74대
|
주차장
|
10,718대
|
|
여객터미널
|
200,680㎡
|
항행안전시설
|
GP, LOC 및 항행시설 1식
|
|
화물터미널
|
17,200㎡
|
항공등화시설
|
ALS 및 공항등화시설 1식
|
[출처] ’29.12월 개항 목표, 24시간 운영 가능 편리하고 안전한 가덕도 신공항|작성자 국토교통부
모두들 말하는 것은 활주로가 하나라는 점이 매우 아쉽다고 한입으로 말하는 점입니다.
이왕이면 2본으로 이착륙이 동시에 가능한 공항이었으면 좋겠다라는 취지의 이야기를 하는 이유 입니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 사업은 부산의 미래를 바꿀 핵심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부산은 동북아 물류 허브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남부권 중심 도시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광역시도시공사 진장물류단지 현황 데이터 자료 (20231207) (0) | 2024.01.09 |
---|---|
울산광역시도시공사 산업단지 조성사업 현황 자료(20231207) (0) | 2024.01.09 |
경상북도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 현황 리스트 (0) | 2023.12.13 |
광주광역시 소형건설기계조종 교육기관 현황 (23.10.12) (0) | 2023.10.29 |
부산광역시 동래구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현황을 알아보자 (23.10.16) (0)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