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전·세종·충청 초광역 교통망 구축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 박차

대전·세종·충청 초광역 교통망 구축 본격화: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 박차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충청권 메가시티 실현을 위한 교통 인프라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될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을 위해 대전권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광역철도, 광역도로 등 신규 사업 제안을 논의했습니다.

충청권 교통망, 어떻게 강화되나?

이번 간담회에서는 충청권 광역생활권 형성을 위한 교통 연계 강화, 대전-세종 간 통행 수요 대응 등 지역 현안과 광역교통시설 추진 현황 점검,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 사업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습니다.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의 관계자들과 한국교통연구원, 대전세종연구원, 충남연구원, 충북연구원의 연구진들이 참석하여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각 지자체별 주요 건의 사항

  • 대전광역시: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을 비롯한 기존 사업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환승센터 사업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 충청남도: 세종-공주 광역BRT 등 기존 사업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광역철도, 광역도로, 광역BRT 등 신규 사업 4건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 충청북도: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등 기존 사업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광역도로, 환승센터 등 신규 사업 3건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의 검토 결과 보고

한국교통연구원은 대전권 신규 건의 사업 8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하고, 사업별 경제성 분석(B/C), 자체 신규 사업 발굴, 지자체 협의, 공청회 개최 등 앞으로의 일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대광위원장의 강조점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대전·세종·충청 지역은 대한민국의 중심에 위치한 교통·행정의 핵심축이자,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할 전략적 거점임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충청광역연합 출범 등 지자체 간 협력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광역교통망 구축을 통해 충청권의 통합적 성장 기반 마련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향후 계획

대광위는 6월 수도권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연말까지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을 확정·고시할 계획입니다.

보도자료 확인하기

 

 

250514(조간) 대전·세종·충청 초광역 교통망 구축 본격화…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6~’30) 수립 박차(광역교통정책과).pdf
0.47MB

 

FAQ

    1.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이란 무엇인가요?

광역교통시설 확충과 광역교통체계 개선을 위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 계획입니다.

    1. 이번 간담회는 어디에서 개최되었나요?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1. 주요 논의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충청권 광역생활권 형성을 위한 교통 연계 강화, 대전-세종 간 통행 수요 대응, 광역교통시설 추진 현황 점검 등이 논의되었습니다.

    1. 향후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6월 수도권 간담회 개최 후 연말까지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