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기초(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15 :2023란?KCS 24 51 15 :2023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기초에 대한 설계 및 시공 지침을 제공하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말뚝의 지지력, 내구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말뚝 기초 설계 및 시공을 위한 세부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합니다. 구체적으로 말뚝의 재료, 형상, 크기, 시공 방법, 검사 기준, 품질 관리 등을 다루며, 설계자와 시공자가 말뚝 기초 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지반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속에 철근, 철골 및 콘크리트를 넣어 지중에서 양생 제작하는 말뚝으로 시공법에 따라 올케이싱공법..
기성말뚝기초(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10 :2023란?KCS 24 51 10:2023은 기성말뚝기초의 설계 및 시공에 대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의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설계법(LSD)을 기반으로 하여 말뚝기초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 말뚝의 재료, 형태, 시공 방법, 하중 및 지지력 계산, 검사 및 시험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다루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말뚝기초 시공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 역할을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장은 도로교 하부구조물 기초인 말뚝기초공사에 사용되는 기성말뚝에 적용하며 시험말뚝을 포함한 모든 말뚝의 시공, 말뚝의 이음 및 품질관리사항, 운반 및 저장관리, 그리고 이들 사항들..
감쇠장치(한계상태설계법) KCS 24 41 35 :2023란?KCS 24 41 35 :2023은 한계상태설계법(LSD)을 적용한 감쇠장치에 대한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감쇠장치의 설계, 제작, 시공 및 검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며,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쇠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적용됩니다. 특히, 이 시방서는 감쇠장치의 종류, 성능, 설치 방법, 검사 기준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감쇠장치가 구조물의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내진보강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점성감쇠장치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에 적용한다.(2)점성감쇠장치 이외의 감쇠장치의 시공과 관련된 사항은 이 기준 3. 시공에 준하여 적용할 수 있다.1.2 참고 기준1...
충격분산장치(한계상태설계법) KCS 24 41 30 :2023란?KCS 24 41 30:2023은 건설 표준 시방서로서, 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여 구조물에 충격을 분산시키는 장치에 대한 설계 및 시공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충격 분산 장치의 종류, 재료, 설계 기준, 시공 방법, 검사 및 시험 등을 상세히 다루며,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충격분산장치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2)충격분산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진 해석을 통한 구조물의 거동특성과 장치의 거동 특성을 확인하고 사용 적합성 여부에 대하여 감독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기준● KS B IS..
난간과 방호울타리(한계상태설계법) KCS 24 41 15 :2023란?KCS 24 41 15 :2023은 "건축물의 난간 및 방호울타리 - 한계상태설계법"이라는 제목의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표준시방서는 건축물의 난간과 방호울타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여 구조 설계 및 시공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구체적으로, 난간과 방호울타리의 하중, 내구성, 안정성, 사용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 방법을 규정하며, 각 요구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계산 방법과 검증 기준을 명시합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교량의 난간, 차량 방호울타리, 난간 겸용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
신축이음(한계상태설계법) KCS 24 41 10 :2023란?KCS 24 41 10:2023은 신축이음에 관한 한국건설표준시방서로,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공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시방서는 신축이음의 종류, 설계 및 시공 방법, 검사 기준 등을 상세히 다루며, 구체적인 사례와 그림을 통해 이해를 돕습니다. 또한, 건축물의 사용 환경 및 구조 형식에 따라 적합한 신축이음의 적용과 관리 방법을 제시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축 시공을 가능하게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교량 신축이음부의 품질관리 및 시공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에 적용한다.(2) 신축이음은 개방형 신축이음, 밀폐형 또는 방수형 신축이음, 봉함재형 신축이음 등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