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관련용어 이전 포스팅에 이어 일반콘크리트 관련용어 정의를 마저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반콘크리트 관련 용어 정의 2 (40) 배합강도(required average concrete strength)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하는 경우에 목표로 하는 강도 (41) 보온 양생(insulation curing) 단열성이 높은 재료 등으로 콘크리트 표면을 덮어 열의 방출을 적극 억제하여,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해서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는 양생 (42) 보통골재(normal aggregate) 자연작용으로 암석에서 생긴 잔골재, 자갈 또는 부순 모래, 부순 굵은 골재, 고로슬래그 잔골재,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 등의 골재 (43) 일반 콘크리트(normal-weight concrete) 잔골재, 자갈 또는 부순..
콘크리트 관련용어란?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골재를 혼합하여 만든 재료로, 건축물의 구조물, 토목 구조물, 도로, 공항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콘크리트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는 크게 시멘트, 골재, 물, 혼화제의 종류와 사용량입니다. 아마 건설관련 기사시험 중 콘크리트 재료기사와 토목기사, 건축기사등의 기사공부를 준비했다면 한번쯤 들어본 용어들로 구성된 관련 용어 정의입니다. 콘크리트 시방서에 적혀져있는 내용으로 관련 업무를 진행한다면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하는 내용들입니다.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결합재료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합니다. 시멘트의 종류에는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플라이 애시 시멘트 등이 있습니다.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 경제성을 결정합니다. 골재의..
전문건설업 면허란? 전문건설업 면허는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전문건설업 등록을 한 사업자가 건설공사의 각 공종별 전문공사를 직접도급 또는 하도급 받아 해당 전문분야의 시공기술을 가지고 공사를 수행하는 업을 말합니다. 전문건설업 면허는 건설공사의 품질 향상, 전문건설업의 육성 및 활성화, 건설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전문건설업 자격요건 자본금 : 업종별로 일정 금액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기술자 : 업종별로 일정 명의 이상의 건설기술자를 보유해야 합니다. 사무실 : 업종별로 일정 면적 이상의 사무실을 갖추어야 합니다. 전문건설업 면허 등록절차 신청서 제출 : 관할 시·도지사에게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서류 심사 : 관할 시·도지사가 신청서를 심사합니다. 면허 발급 : 심사 결과 적..
그루빙공법이란? **그루빙(Grooving)**은 도로 및 공항 포장면에 일정한 규격의 홈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다양한 포장면 표면처리(Pavement-Texturing)의 한 부분입니다. 그루빙은 1960년대 미 우주항공국에서 항공기 안전을 위하여 처음 개발한 포장의 표면처리 공법으로, 공항 및 도로 표장면에 입체적인 홈을 형성하여, 타이어 패턴과 같은 효과를 내는 "미끄럼 방지 도로 안전 기술"입니다. 그루빙공법의 효과 수막현상 방지 : 젖은 노면의 사고 감소효과 탁월 곡선구간 조향성 향상 : 곡선구간의 차량 이탈사고 예방 소음 감소대책 : 콘크리트 포장 횡방향 타이닝 대신 종방향 시공으로 소음감소 온도상승효과 한냉지역의 노면동결억제와 슬립방지대책 그루빙은 도로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토목시공 토공 기초가 되는 작업 벌개제근과 표토제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적용 건설공사 표준품셈 (토목, 건축, 기계설비, 유지관리) 벌개제근이란?벌개제근은 도로공사, 철도공사, 아파트 신축공사 등 토목공사 시 시행되는 공정 중 하나입니다. 벌개제근이란 산림지역의 수목이나 그루터기, 뿌리 등을 지표면에서 20cm 깊이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토공사 시 기층하부에 이물질이 있으면 다짐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시행됩니다. 표토제거란?표토제거는 벌개제근과 마찬가지로 기존 지표면의 일정 높이만큼의 흙을 까내는 것을 말합니다. 벌개제근과 다른 점은 벌개제근은 산림지역의 흙을 까내는 것이고 표토제거는 논이나 밭구간의 흙을 까내는 것입니다. 표토제거는 논지역이냐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