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입상활성탄 여과지(흡착지)의 입상활성탄 교체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KWCS 10 10 05 공사일반·KWCS 10 10 10 공무행정요건1.3 용어의 정의(1) 용어의 정의는 KCS 57 10 05 (1.3) 에 따른다.1.4 제출물(1) 입상활성탄의 물리적 특성과 환경부 수처리제 규격에 대한 공인기관의 시험성적서1.5 수량산출 및 대가 지급(1) 수량산출은 입상활성탄을 다져진 후의 펴는 두께를 기준으로 여과지 바닥 총면적을 곱하여 ㎥ 단위로 산출한다. (2) 입상활성탄 투입비용은 수급인이 내역서상에 입찰한 해당지급 항목의 단가로 지급한다. 이 입찰단가는 입상활성탄의 지내 투입후 미립분 제거 후 설계여..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의 적용범위는 KCS 57 40 15 (1.1) 에 따르며, 추가사항은 다음 (2)와 같다.(2) K-water에서 건설 및 운영 관리하는 상수도 정수처리시설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 방수·방식 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기준1.2.1 관련 법규(1) 관련 법규는 KCS 57 40 15 (1.2.1) 에 따른다.1.2.2 관련 기준(1) 관련 기준은 KCS 57 40 15 (1.2.2) 에 따르며, 추가사항은 다음과 같다.·KCS 41 40 01 방수공사 일반·KCS 41 40 18 지하 수조 내부 방수·방식 공사·KCS 57 40 15 정수처리시설 방수공사· SPS KWWA M 211-6246 방수방식재의 내오존성능 시험방법 및 성능기준1.3 용어의 정의(1)..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수급인은 계약서에 따른 막여과설비(역삼투, 나노여과막, 정밀여과, 한외여과)설비와 부속품들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 기준의 규정은 별도 명시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막여과설비와 부대설비에 적용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KWCS 10 10 10 공무행정요건·KWCS 14 31 20 용접·KWCS 57 80 05 기계공사 일반사항·KWCS 57 80 06 수처리기기 일반사항·KWCS 57 80 15 05 상수도공사 밸브설비 일반사항·KWCS 57 80 10 05 상수도공사 펌프설비 일반사항·KS F 2803 보온 보랭 공사의 시공 표준1.2.3 기준 적용(1) 사용재료 및 모든 규격은 지정된 KS 규..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정밀여과막 및 한외여과막 설비의 제작, 납품, 설치, 시험 및 검사, 시운전 등에 적용되며, 주요내용은 다음 항과 같다. ·정밀여과막 및 한외여과막 설비·막여과 장치 가대·자동밸브·오토스트레이너·약품주입펌프(무맥동식 다이아프램펌프)·약품세정펌프·약품희석조·약품저장조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수도법1.2.2 관련 기준·KWCS 10 10 10 공무행정요건·KWCS 31 65 20 동력설비공사·KWCS 57 40 10 15 오존 주입설비·KWCS 57 80 06 수처리기기 일반사항·KWCS 57 80 10 05 상수도공사 펌프설비 일반사항·KS B 1511 철강제 관플랜지의 기본치수 및 치수 허용차·KS B 2304 밸브의 검사 통칙·KS B 2308..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수봉식 진공펌프의 제작, 시험, 운반, 설치, 검사 및 시운전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KWCS 31 65 20 동력설비공사·KWCS 57 80 10 05 상수도공사 펌프설비 일반사항·KS B 6351 용적형 압축기-시험 및 검사 방법·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SPS KTC B6319 6373 수봉식 진공 펌프1.3 용어의 정의(1) 용어의 정의는 KCS 57 80 10 (1.3) 에 따른다.1.4 요구조건(1) 수급인은 현장조건, 적용사항, 펌프설비의 운전을 검토하고 기술된 사항에 가장 적합한 펌프를 제시해야 한다.1.5 제출물 1.5.1 일반(1) 수급인이 제출하여야 할 제출물은..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고도산화설비(UV + 과산화수소)의 설계, 제작, 시험, 운반, 설치, 검사 및 시운전, 교육 등에 대해 적용한다.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에너지이용 합리화법1.2.2 관련 기준·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KWCS 10 10 10 공무행정요건·KWCS 57 40 10 15 오존 주입설비·KWCS 57 80 06 수처리기기 일반사항·KWCS 57 80 10 25 다이어프램 펌프·DIN 독일공업표준·EN 유럽 표준·IEC 국제전기기술협회·IEE 전기기술자협회·KECO'S 한국전력표준·KS B 1511 철강제 관플랜지의 기본치수·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