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콘크리트 교량공사 KRACS 47 10 55 :2021란?KRACS 47 10 55 :2021은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발행한 철도건설공사 시방서로, 콘크리트 교량 공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교량의 설계, 시공, 검사, 유지보수 등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며, 콘크리트 혼합, 타설, 양생,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시험 및 검사, 하자보수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절차를 명시합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교량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합니다.1. 교량상부 가설공법1.1 동바리공법(FSM)1.1.1 일반사항(1) 적용범위이 절은 동바리공법(Full Staging Method)을 이용한 교량상부 가설공사에 적용한다.이 절에서 언급하지..
콘크리트 LHCS 14 20 10 05:2020 이란?"콘크리트 LHCS 14 20 10 05:2020"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2020년에 발행한 콘크리트 일반에 대한 표준 시방서입니다. LHCS는 LH 건설 표준을 의미하며, 이 시방서는 LH에서 시행하는 건설 공사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대한 전반적인 기준과 요구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즉, 다른 LHCS 콘크리트 시방서들의 기본이 되는 문서입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라 한다)에서 발주하는 공사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을 제시한 것으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주문하여 사용하는 경우나 현장에 배치플랜트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경우 이 기준의 규정을 적용하..
콘크리트공사일반사항이란?LHCS 14 20 01 : 2020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콘크리트공사 일반사항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LH에서 발주하는 콘크리트 공사에 적용되며, 콘크리트 공사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콘크리트 구조물 공사 기준일반사항적용 범위1) 이 기준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라 한다)에서 발주하는 공사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료와 시공에 관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다.2) KCS 14 20 01(1.1(2),(3)) 을 따른다.참고 기준관련 법규내용 없음관련 기준KDS 14 20 01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 일반사항KDS 14 20 90 기존 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정성 평가기준용어의 정의내용 없음콘크리트공사 일반1) KC..
콘크리트 관련용어 이전 포스팅에 이어 일반콘크리트 관련용어 정의를 마저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반콘크리트 관련 용어 정의 2 (40) 배합강도(required average concrete strength)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하는 경우에 목표로 하는 강도 (41) 보온 양생(insulation curing) 단열성이 높은 재료 등으로 콘크리트 표면을 덮어 열의 방출을 적극 억제하여,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해서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는 양생 (42) 보통골재(normal aggregate) 자연작용으로 암석에서 생긴 잔골재, 자갈 또는 부순 모래, 부순 굵은 골재, 고로슬래그 잔골재,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 등의 골재 (43) 일반 콘크리트(normal-weight concrete) 잔골재, 자갈 또는 부순..
콘크리트 관련용어란?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골재를 혼합하여 만든 재료로, 건축물의 구조물, 토목 구조물, 도로, 공항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콘크리트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는 크게 시멘트, 골재, 물, 혼화제의 종류와 사용량입니다. 아마 건설관련 기사시험 중 콘크리트 재료기사와 토목기사, 건축기사등의 기사공부를 준비했다면 한번쯤 들어본 용어들로 구성된 관련 용어 정의입니다. 콘크리트 시방서에 적혀져있는 내용으로 관련 업무를 진행한다면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하는 내용들입니다.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결합재료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합니다. 시멘트의 종류에는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플라이 애시 시멘트 등이 있습니다.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 경제성을 결정합니다. 골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