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스팔트콘크리트 교면포장(한계상태설계법) KCS 24 61 05 :2023란?KCS 24 61 05 :2023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 포장에 대한 한국건설표준시방서로,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교량의 포장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모든 기술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시방서는 포장 구조물의 내구성, 안전성, 주행성, 방수성, 미관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설계 기준, 재료 규격, 시공 방법, 품질 관리 기준 등을 상세히 제시하며, 교량 포장의 품질 향상과 안전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https://enc.ksocket.com/ 시방서모음 - 건설기준정보 모음 enc.ksocket.com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도로교의 바닥판에 아스팔트콘크리트에 의한 포장 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
비탈면보호(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25 :2023란?KCS 24 51 25 :2023 "비탈면보호(한계상태설계법)"는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 및 시공 기준을 담은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필요한 보강 방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하며, 토목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 관리에 필요한 기술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특히, 비탈면 안정성 평가, 보강재의 종류 및 설계, 시공 방법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시방서는 깎기 및 쌓기 등에 의한 인공비탈면이나 자연비탈면에 대하여 인공재료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안정과 경관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비탈면의 보호공사에 적용한다.(2)비탈면 ..
토류구조물(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20 :2023란?KCS 24 51 20 :2023 "토류구조물(한계상태설계법)" 건설 표준시방서는 토류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문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하여 토류구조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요구사항 및 시공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토류구조물의 안정성 평가, 재료 선정, 시공 과정, 검사 및 관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포함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토류구조물 건설을 위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토류구조물로 시공되는 콘크리트옹벽, 철근콘크리트옹벽, 석조 중력식옹벽, 널말뚝벽과 엄지말뚝 토류벽, 그리고 보강토 옹벽에 대한 시공..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기초(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15 :2023란?KCS 24 51 15 :2023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기초에 대한 설계 및 시공 지침을 제공하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설계법을 기반으로 말뚝의 지지력, 내구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말뚝 기초 설계 및 시공을 위한 세부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합니다. 구체적으로 말뚝의 재료, 형상, 크기, 시공 방법, 검사 기준, 품질 관리 등을 다루며, 설계자와 시공자가 말뚝 기초 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지반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속에 철근, 철골 및 콘크리트를 넣어 지중에서 양생 제작하는 말뚝으로 시공법에 따라 올케이싱공법..
기성말뚝기초(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10 :2023란?KCS 24 51 10:2023은 기성말뚝기초의 설계 및 시공에 대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의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설계법(LSD)을 기반으로 하여 말뚝기초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 말뚝의 재료, 형태, 시공 방법, 하중 및 지지력 계산, 검사 및 시험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다루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말뚝기초 시공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 역할을 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장은 도로교 하부구조물 기초인 말뚝기초공사에 사용되는 기성말뚝에 적용하며 시험말뚝을 포함한 모든 말뚝의 시공, 말뚝의 이음 및 품질관리사항, 운반 및 저장관리, 그리고 이들 사항들..
얕은기초(한계상태설계법) KCS 24 51 05 :2023란?KCS 24 51 05 :2023 건설 표준시방서는 얕은 기초 설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시방서는 한계상태 설계법을 기반으로 하여 얕은 기초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 기준, 계산 방법, 시공 방법 등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얕은 기초의 구조 안전성과 지지력, 침하, 지반 움직임 등에 대한 설계 및 시공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내구성 있는 건축물 구축을 위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이 기준은 양질의 지지층이 지표면 가까운 곳에 존재하여 얕은기초 형식으로 지지층에 직접 지지되는 교량 기초공사와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구체의 시공에 적용한다.(2)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