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란?

KCS 31 25 15:2021은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표준시방서는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의 시공, 검사, 시험 및 유지관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설계, 재료, 시공, 검사, 시험, 운전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모든 단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건물의 에너지 효율과 안전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표준시방서에는 다양한 유형의 공기조화기기, 설치 방법, 관련 장비 및 부품에 대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으며,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에 대한 품질 관리와 표준화를 위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1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공기조화기기설비공사에 사용되는 장비 및 기기류 중에서 열원기기를 제외한 것에 대하여 적용한다. 제품의 선정은 KS 표시 인증제품 또는 KAS 한국제품인증을 받은 단체표준인증 제품으로 하되 없는 경우에는 KS 표준 또는 단체표준을 참조하여 성능이 검증되는 우수제품을 사용한다.

(2)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22조 및 제23조 등에 따라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의 적용범위에 있는 기자재의 경우에는 고효율에너지 기자재로 인증을 취득한 기자재 또는 동등품 이상을 사용한다.

1.2 참고기준

다음 표준은 본 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본 기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2.1 관련법규

(1) 건축법,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소음·진동관리법,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등 관련 법규의 규정에 따른다.

(2)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규정에 의거 공기질 유지기준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공기 여과기를 설치한다.

1.2.2 한국산업표준

● KS B 6141 환기용 공기 필터 유닛

● KS B 6311 송풍기의 시험 방법

● KS B 6326 전향익 송풍기

● KS B 6377 팬코일유닛

● KS B 6378 콘벡터

● KS B 6391 난방용 방열기

● KS B 6403 난방용 방열기 트랩

● KS B 6404 난방용 강판 방열기

● KS B 6405 난방용 방열기 부속품

● KS B 8019 기름용 온풍 난방기

●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 KS D 3506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 KS D 3517 기계 구조용 탄소강관

● KS D 3528 전기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 KS D 3530 일반 구조용 경량형강

●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 KS D 3698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 KS D 5201 구리 및 구리합금 판 및 띠

● KS D 5301 이음매 없는 관 구리 및 구리합금 관

● KS D 5506 인청동 및 양백의 판 및 띠

●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의 판 및 띠

● KS D 6705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박

●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 KS D 8309 용융 알루미늄 도금

● KS F 6314 팬컨벡터

● KS L 9102 인조광물 섬유 단열재

1.2.3 단체표준

● SPS-KARSE B 0001-0163 항온항습기

● SPS-KARSE B 0002-0164 항온항습기 성능 시험방법

● SPS-KARSE B 0005-0167 익형송풍기

● SPS-KARSE B 0006-0168 축류송풍기

● SPS-KARSE B 0018-0180 후향익 송풍기

● SPS-KARSE B 0019-0181 냉동용 유닛 쿨러

● SPS-KARSE B 0023-0185 관류송풍기

● SPS-KARSE B 0024-0186 냉각제습기

● SPS-KARSE B 0025-0187 축류형 사류송풍기

● SPS-KARSE B 0028-0190 기화식 가습기

● SPS-KARSE B 0030-0192 전열환기시스템

● SPS-KARSE B 0052-1938 축류송풍기 에너지효율등급

● SPS-KARSE B 0049-2037 중앙난방용 자동 정유량 시스템 분배기

● SPS-KARSE B 0056-6196 공기조화용 보온재 일체형 덕트패널

● SPS-KARSE B 0057 송풍기 성능 인증 기준

1.2.4 학회표준

SAREK 표준 203-2014 공조장비의 기밀시험 방법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2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을 참조한다.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KCS 31 10 10에 따라 제출한다.

1.4.1 자재공급 및 제출물

수급인은 다음의 사항을 자재 공급전에 건설사업관리기술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1) 제품자료 : 치수, 중량, 용량, 등급, 송풍기성능, 전동기의 전기특성, 계기 및 마감재료 등을 표시한 공기조화기기 제조업자의 제품자료와 제작도면을 제출한다.

(2) 배선도 : 공기조화기의 전원 공급에 대한 제조업자의 전기규정서를 제출한다. 또한 연동장치 및 제어배선에 대한 제조업자의 배선도를 제출하며, 공장 배선과 현장 배선을 명확하게 구분한다.

1.4.2 품질시험 성과표

해당공사 전문시방서 규정에 의하여 검정을 받도록 되어 있는 품목은 검정결과서를 건설사업관리기술자에게 제출한다.

1.4.3 시공 상태 확인서

해당공사 전문시방서 시공 상태 확인규정에 의하여 확인을 받도록 되어 있는 항목에 대하여는 현장대리인이 제출 전에 현장을 점검한 후 서명 날인 한 시공 상태확인서를 건설사업관리기술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1.4.4 유지관리자료

공조기, 제어장치 및 부속품에 대한 유지관리 자료와 예비부품목록을 제출한다.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3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


2. 자재

2.1 송풍기

2.1.1 일반사항

(1) 평형시험기에 의하여 정적 평형과 동적 평형이 잘 조정된 것으로서 운전 시에 소음과 진동이 적고 소정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2) 제작 시의 변형 및 찌그러짐 등이 없도록 강도를 가지며 적합한 베어링을 사용한다.

(3) 배연용 송풍기와 제연설비용 배출기는 각각 건축법 및 소방법 등의 관계법규를 만족시키는 구조 및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하고, 내열 처리한다.

(4) 모든 송풍기에 관한 설계도서상의 표기에는 가능한 한 풍량, 정압, 효율, 허용 소음값 그리고 최대소비전력 항목을 명시한다.

(5) 송풍기는 제품의 선정은 KS 표시 인증제품 또는 KAS를 받은 단체표준인증 제품으로 하되 없는 경우에는 KS 표준 또는 단체표준을 참조하여 성능이 검증되는 우수제품을 사용한다.

2.1.2 원심송풍기

(1) 다익형에 있어서는 KS B 6326에 따르며 그 밖의 송풍기는 다익송풍기에 준한다.

(2) 케이싱은 KS D 3503, KS D 3512 또는 KS D 3501에 적합한 강판 또는 KS D 3506 등으로 변형과 진동이 없으며 접합부에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용접, 리베팅 또는 절곡, 삽입방식에 의하여 견고하게 정형보강된 것으로써 설치와 운전에 지장이 없는 구조로 한다.

(3) 날개는 강판재 또는 기타 필요한 강도를 가진 재료로서 일정한 곡면으로 정밀하게 정형 제작하여 보스에 용접, 리베팅 및 볼트 또는 기타 방법으로 주판과 측판에 견고하게 부착한 것으로서 운전 시에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강도를 가진 것으로 한다.

(4) 축은 회전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것으로 하고 베어링은 레디얼 및 스러스트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장시간의 연속 운전 시에도 지장이 없는 것으로 한다.

(5) 전동기는 KS 표준품으로 옥내는 방적형, 옥외는 전폐 옥외형으로 한다.

2.1.3 축류 및 사류 송풍기

(1) 케이싱과 프레임은 강판 또는 기타 필요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고 설치에 지장이 없는 구조로 한다.

(2) 날개는 강판 또는 기타 필요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서 소정의 매끈한 곡 면으로 정밀하게 제작하여 고속운전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한다.

(3) 축은 2.1.2(4)에 따른다.

(4) 전동기는 2.1.2(5)에 따른다.

2.2 공기냉각 및 가열 코일

2.2.1 일반사항

코일은 열교환 효율이 높고 내식성이 우수하며, 견고하여 공기통과 저항이 적은 구조로서 소정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1) 표면에 생긴 물방울이나 성에 등으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한다.

(2) 표면에 생긴 물방울이나 성에 등으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한다.

(3) 부식에 대해서 적절한 조치를 갖추어야 한다.

(4) 한랭지에 사용할 때에는 동결방지에 적절한 조치를 갖추어야 한다.

2.2.2 냉온수 코일

(1) 본체, 핀, 관, 헤더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2) 관은 KS D 5301의 것으로 내부의 압력에 충분히 견디는 강도를 가진 것으로 한다.

(3) 핀은 플레이트형, 웨이브형, 또는 슬릿형의 것을 판상 또는 나선상으로 관에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재질은 KS D 5201의 동판, KS D 6701 또는 KS D 6705의 것으로 한다.

(4) 헤더는 관형 또는 상자형으로 하고, 재질은 KS D 3562, KS D 5301, KS D 3512, 또는 KS D 5201의 것으로 한다.

(5) 본체는 KS D 3503의 강판재로서 견고한 구조로 한다.

(6) 냉수 코일 또는 냉/온수 겸용 코일의 높이는 1,200 mm 이하로 제작하며, 그 이상의 높이가 필요할 경우에는 코일을 상/하 분리하며 각 코일마다 배수 판을 설치한다. 배수 판의 폭은 코일 높이의 1/2 이상으로 제작하여 응축수 비산을 최소화 한다.

2.2.3 증기 코일

(1) 구성은 2.2.2에 따른다.

(2) 구조는 팽창 및 응축수 배출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2.2.4 직접 팽창 코일

(1) 구성은 2.2.2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규정에 따른다.

(2) 관, 핀, 헤더 및 본체는 2.2.2에 따른다.

(3) 시험 후 진공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질소가스를 넣고 밀봉시킨다.

2.2.5 전기가열 코일

공기저항이 적고 안전장치를 갖추도록 한다.

2.3 공기 열교환기

2.3.1 일반사항

공기 열교환기는 열교환 엘리먼트, 케이싱 및 부속품으로 구성되며, 배기 측 공기의 열을 급기 측 공기에 회수시키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2.3.2 회전형 전열교환기

(1) 열교환 구성 요소는 난연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형상변화 및 압력손실이 적은 구조로 한다.

(2) 세균이나 악취가 배기 측으로부터 급기 측에 전달되지 않는 구조로 한다.

(3) 케이싱은 KS D 3503 및 KS D 3502 또는 KS D 3530에 의한 형강으로 구성된 강도를 지닌 골조에 KS D 3512에 의한 강판으로 외장 처리를 한 것으로 한다.

(4) 구동장치는 감속기, 구동 전달부 및 전동기로 구성되며 확실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2.3.3 정지형 전열교환기

(1) 열교환(구성)요소, 케이싱 및 부속품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2) 열교환 엘리먼트는 2.3.2(1)에 따른다.

(3) 케이싱은 2.3.2(3)에 따른다.

2.3.4 현열교환기

(1) 열교환(구성)요소, 케이싱 및 부속품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2) 열교환 엘리먼트는 2.3.2(1)에 따른다.

(3) 케이싱은 2.3.2(3)에 따른다.

2.4 가습기

2.4.1 일반사항

가습기는 주로 공기조화기, 패키지형 공기조화기 또는 덕트 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여 가습성능이 우수하고 내식성 및 스케일 대책을 충분히 고려한 구조로 하며, 제품의 선정은 KAS 한국제품인증을 받은 단체표준인증 제품을 사용한다.

2.4.2 시험 및 검사

시험 및 검사는 SPS-KARSE B 0028-0190에 따른다.

2.4.3 수분무식 가습기

(1) 가압 수분무식 가습기는 스트레이너, 급수용 전자밸브, 가압펌프, 분무노즐, 노즐헤더 등으로 구성하며 노즐칩은 세라믹 등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고 노즐헤더는 스테인리스, 황동 등 녹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한다.

(2) 원심식 가습기는 전동기, 흡수분무부, 입자여과기, 송풍기, 송출부로 구성 되고,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가습기능을 충분히 만족시키도록 한다.

(3) 초음파식 가습기는 스테인리스 또는 수지제품 등의 물탱크 하단에 초음파 가습장치를 설치하여 자동급수장치를 따라 공급되는 물을 미세화 및 확산시키는 구조로 한다.

2.4.4 증기식 가습기

(1) 증기 분무식 가습기는 KS D 3562에 따른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또는 KS D 3576에 따른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에 작은 구멍을 뚫어 증기를 분출시키는 것으로서, 응축수를 생성시키지 않으며, 공기와의 혼합이 잘 되는 구조이다.

(2) 증기발생식 가습기는 증기발생부 및 제어기구부, 급배수장치, 증기분출 구로 구성되며,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한다.

(3) 전열 증발 접시에 의한 가습기는 스테인리스제 물탱크, 전열기, 급수장치 및 안전장치를 갖추도록 한다.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4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 KCS 31 25 15 :2021 건설 표준시방서


2.5 공기여과기

2.5.1 일반사항

공기여과기는 가능한 압력손실이 적고 포집률이 높은 것으로써 여과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어야 한다.

(1) 먼지의 재비산이 적을 것

(2) 부식 및 곰팡이의 발생이 적을 것

(3) 난연성일 것

(4) 흡습성이 적을 것

(5) 분진 포집율은 특기에 따를 것

2.5.2 패널형 공기여과기

(1) 유닛의 교환이 쉽고, 공기누설이 적은 구조로 한다.

(2) 여과재의 포집률, 분진보유용량 및 최종압력손실 등은 KS B 6141에 따라 시험한 값으로 한다.

(3) 여과재유닛은 방청 처리한 KS D 3512, KS D 6701또는 KS D 6759에 따른 틀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한다.

(4) 설치틀은 방청처리한 KS D 3512, KS D 3502, KS D 3506 또는 KS D 3528에 따른 강판재로 한다.

2.5.3 백(bag)형 공기여과기

(1) 유닛의 교환이 쉽고 공기누설이 적은 구조로 한다.

(2) 여과재의 특성은 2.5.2(2)에 따른다.

(3) 여과재유닛은 방청 처리한 KS D 3512, KS D 6701 또는 KS D 6759에 따른 틀내부에 여과재를 백 형태로 넣은 것으로 한다.

(4) 설치틀은 2.5.2(4)에 따른다.

2.5.4 자동감기형 공기여과기

(1) 케이싱, 여과재, 감기기구 및 제어반으로 구성되며, 전동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여과재를 감는다.

(2) 여과재의 특성은 2.5.2(2)에 따른다.

(3) 케이싱은 KS D 3512, KS D 3506 또는 KS D 3528의 강판재로 보강을 실시하고, 여과재가 교환이 쉬운 구조로 한다.

(4) 감기기구는 타이머스위치 또는 차압스위치에 의한 자동감기 방식으로 한다. 여과면의 집진상태를 감시하는 미세차압계를 설치한다.

(5) 제어반의 부속품은 전원표시등, 감기끝남 표시등, 이상표시등, 전원스위치 및 감기스위치를 갖춘다.

2.5.5 정전식 공기여과기

(1) 전리부, 집진부, 케이싱 및 제어반으로 구성되며, 공기중의 먼지를 양(+)으로 대전시켜 음극판에 먼지를 부착케 하고, 집진부의 청소 및 각부의 점검, 보수가 쉽고 안전한 구조로 한다.

(2) 전리부는 방전선 및 접지극으로 구성되며, 방전선에 고전압을 가하여 접지극과의 사이에 전리영역을 형성하여 먼지입자를 양이온으로 대전시킨다.

(3) 집진부는 고전위 극판, 접지극판 및 여과기로 구성된다.

(4) 케이싱은 2.5.4(3)에 따른다.

(5) 제어반은 다음과 같은 부속품을 구비한다.

① 고압 전원부에는 자동복귀식 단락 보호장치를 갖춘다.

② 전원표시등, 대전 표시등, 이상표시등

③ 전원스위치, 대전 스위치, 안전스위치


2.6 공기조화기

2.6.1 일반사항

(1) 공기조화기는 송풍장치, 공기냉각장치, 가열장치, 가습장치 및 케이싱 그리고 공기 혼합부분, 기타 부속부분 등으로 구성되며 가열, 가습, 냉각 및 감습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공기여과기를 갖추어 공기를 제진시킨다. 공기조화기는 진동 및 소음이 적고 소정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으로 한다.

(2) 공조기기 기밀시험의 기준은 SAREK 표준 203-2014을 참조한다.

2.6.2 구성품

(1) 공기조화기는 공기냉각코일, 공기가열코일, 공기여과기, 송풍기 및 전동기 등의 주요부와 이들을 내장하는 케이싱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가습기 및 엘리미네이터 등을 설치하고 종류, 형식, 호칭, 구조, 재료 및 치수 등은 형식승인 기준에 따른다.

(2) 케이싱주재료의 사용강판은 KS D 3512, KS D 3506 또는 KS D 3528에 따른 두께 1.2mm 이상 외장강판에 방청도료를 처리한 것으로 점검이 쉬운 구조로 한다.

(3) 공기냉각 및 가열코일은 2.2에 따른다.

(4) 배수판KS D 3698에 따른 강판재로 기울기 및 수밀성을 가지며, 하류측에 배수관 접속구를 설치한다. 바닥 배수판 하부에는 결로 및 열 손실 방지를 위한 단열재를 탈락되지 않도록 견고히 부착한다.

(5) 송풍기는 2.1.2에 따른다.

(6) 전동기는 2.1.2(5)에 따른다.

(7) 단열재는 난연재를 사용하며, 사용 시 열 손실을 최소화 하고, 결로가 생기지 않는 두께로써 난연성의 재료로 표면을 처리한 것으로 한다.

(8) 옥외 설치 공조기는 빗물 차단 차양을 추가로 설치하며, 단열 성능은 옥내 설치 공조기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2.7 패키지형 공기조화기

(1) 압축기, 송풍기, 냉각기, 가열기 및 공기여과기 등을 내장한 공기조화기로서 다음의 각 기기에 대한 시방은 각각 해당사항에 따른다.

① 압축기

② 송풍기 및 전동기

③ 공기냉각코일

④ 공기가열코일(설계 도서에서 요구가 있을 때)

⑤ 공기여과기

⑥ 가습기(설계 도서에서 요구가 있을 때)

⑦ 냉매배관

⑧ 조작반, 안전장치

(2) 케이싱주재료는 KS D 3512, KS D 3506 또는 KS D 3528에 따른 강판재로써 관의 접속 및 내부기기의 교체가 쉬운 구조로 한다.

(3) 단열재사용 시 결로가 생기지 않는 두께로서 이슬 맺힘 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기타 사항은 2.6.2(7)에 따른다.

(4) 배수판은 2.6.2(4)에 따른다.

2.8 팬코일 유닛

(1) KS B 6377에 의한 것으로 하거나 다음에 의한 것으로 한다.

(2) 케이싱은 두께 0.6mm 이상의 강판재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강을 하며 관의 접속 및 내부기기의 교환 및 청소 등이 쉬운 구조로 하고 종류, 형식, 호칭, 구조, 재료 및 치수 등은 형식승인기준에 따른다.

(3) 공기냉각 및 가열코일은 2.2에 따른다.

(4) 공기여과기는 방청처리 된 강판재 또는 알루미늄판제의 틀속에 공기저항이 적고 여과효율이 좋은 여과재를 넣은 것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과재의 양면에 여과재 누름재를 설치하며 탈착이 쉬운 구조로 한다. 여과재는 해당 공사의 시방서에 따른다.

(5) 송풍기는 2.1에 따른다.

(6) 전동기는 2.1.2(5)에 따른다.

(7) 단열재는 2.6.2(7)에 따른다.

(8) 배수판은 KS D 3512, KS D 3698에 따른 강판재 또는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며, 배수판 하부에는 난연성 단열재로 결로 방지 단열을 견고히 부착하며, 기울기 및 수밀성을 가지며, 하류측에 배수관 접속구를 설치한다.

2.9 유인 유닛

(1) 유인 유닛은 케이싱 속에 코일, 공기송출구, 공기흡입구, 공기여과기, 공기노즐 등을 구비한 구조로 한다.

(2) 케이싱은 2.7(2)에 따른다.

(3) 공기여과기는 2.8(4)에 따른다.

(4) 노즐은 소음절연 된 챔버에 부착한 것으로서 1차공기의 일정 풍량 및 정압에 높은 효율로 유인되는 것으로 한다.

2.10 온풍난방기

KS B 8019에 따르며, 기타 사항은 다음을 따른다.

(1) 연소실, 열교환기, 케이싱, 버너, 안전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견고한 구조로 내구성과 정숙한 운전으로 진동이 적고, 소정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2) 연소실 및 열교환기는 두께 1mm 이상의 KS D 8309에 따라 내열처리를 한 강판이나 스테인리스 강판재로 열팽창을 고려한 구조로 한다.열교환기는 용량에 맞는 열교환 능력을 갖는 것으로 기밀성과 함께 통과저항이 적은 것으로 한다.

(3) 버너는 KCS 31 25 10(2.7)에 따른다.

(4) 케이싱은 강판재로, 내부의 점검이 쉬운 구조로 한다.

(5) 송풍기는 2.1에 따른다.

(6) 연도는 KCS 31 25 10(2.8.1)에 따른다.

2.11 방열기 및 부속품

2.11.1 일반사항

(1) 증기, 온수 등을 열원으로 하고, 복사 또는 대류에 의해 난방을 하는 기기 및 부속품으로, 주철 및 강판 방열기, 핀튜브 방열기 및 팬 컨벡터 등이 있다.

(2) 방열기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가능한 자동온도조절밸브(열동식)를 부착하도록 권장한다.

2.11.2 방열기

(1) 주철 방열기KS B 6391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제품으로 각 섹션 구성부의 개스킷은 제조사 규격 및 KS 표시품에 따른다.

(2) 강판방열기KS B 6404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제품으로 각 섹션 구성부의 개스킷은 제조사 규격 및 KS 표시품에 따른다.

(3) 알루미늄 방열기주요부분은 KS D 6759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제품으로서 소정의 성능을 가지며 사용압력에 견디는 것으로 한다.

(4) 핀튜브 방열기

① 케이싱은 두께 0.8mm 이상의 강판재로 KS D 3512에 따르거나 또는 강봉제로서 케이싱 및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강도를 가지며 조절 가능한 구조로 한다. 또한 전면판에는 그릴부착 송출구를 설치한다.

② 코일은 2.2에 따른다.

(5) 팬 컨벡터팬 컨벡터는 KS F 6314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제품에 의하며 그 외의 것은 다음에 따른다.

① 케이싱 안에 코일, 토출구, 흡입구, 공기여과기, 송풍기와 전동기 등을 갖춘 구조로 하고 운전시 소음이 적으며 소정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② 케이싱과 코일은 2.2.4(2)에 따른다.

③ 토출구, 송풍기, 전동기와 공기여과기 등은 2.7에 따른다.

2.11.3 방열기 부속품

(1) 증기용 방열기 밸브KS B 6405에 따른 사용 온도 및 압력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2) 온수용 방열기 밸브KS B 6405에 따른 앵글형 또는 스트레이트형으로서 완전히 열릴 때의 저항이 적고 유량의 조정이 쉬운것으로 한다.

(3) 열동식 자동 방열기밸브실내온도 또는 환수 온도를 감지하여 온수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하고 사용온도 및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4) 방열기트랩저압용은 KS B 6403에 따르며 앵글형 또는 스트레이트형으로 한다. 고압용은 저압용에 준하는 것으로서 최고사용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벨로스는 KS D 5506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재료를 사용하며 편심이 없고 소요의 온도에 견디며 작동이 확실한 것으로 한다.

(5) 유니온 엘보KS B 6405에 따른다.

(6) 리턴 콕KS B 6405에 따른 청동제 또는 황동제로 하며 완전히 열릴 때의 저항이 적고 유량의 조정이 용이한 것으로 한다.

(7) 공기빼기밸브수동식은 청동제 또는 황동제 제품으로써 키핸들로 개폐하는 구조로 한다. 자동식으로서 온수용은 부력, 증기용은 온도 또는 부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한다.


2.12 열회수형 환기장치

2.12.1 일반사항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는 열교환 엘리먼트, 케이싱 및 부속품으로 구성되며, 에너지절약과 이용율 향상을 위해, 실별 환기운전을 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을 가능한 구축하도록 한다. 제품의 선정은 KS 표시 인증제품 또는 KAS를 받은 단체표준인증 제품으로 하되 없는 경우에는 KS 표준 또는 단체표준을 참조하여 성능이 검증되는 우수제품을 사용한다.

2.12.2 회전형 전열교환기

(1) 난연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형상변화 및 압력변화가 작은 구조로 한다.

(2) 배기측의 세균이나 악취가 급기 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누기율이 낮은 구조로 한다.

(3) 케이싱을 구성하는 재료의 종류와 강도 및 케이싱의 외장처리는 2.3.2(3)에 따르며 모터내장형인 경우는 모터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다.

(4) 구동장치는 감속기, 구동전달부 및 전동기로 구성되며 확실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5) 공기 여과기를 각 흡입 측에 설치하여 열 교환기의 오염을 최소화한다. 공기여과재는 교환이 쉽도록 탈착이 가능하고 공기누설이 적은 구조로 한다.

2.12.3 판형전열교환기

(1) 열교환 엘리먼트는 2.3.2(1)에 따른다.

(2) 케이싱은 2.3.2(3)에 따르며 케이싱 내부에 필터 및 송풍기모터가 내장된 경우는 탈착, 부착이 편리한 구조로 제작된 제품을 선정한다.

(3) 공기 여과기를 각 흡입 측에 설치하여 열 교환기의 오염을 최소화 한다. 공기여과재는 교환이 쉽도록 탈착이 가능하고 공기누설이 적은 구조로 한다.

2.13 가변풍량 유닛 및 디퓨저

가변풍량 유닛에는 슬롯형, 바이패스형, 유인형 등이 있으며, 가변풍량 디퓨저는 원형, 사각형 및 선형이 있다. 형식선택은 해당 전문시방서에 따르되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가변풍량 유닛 및 디퓨저는 밸브 제작시 주어진 풍량조절 범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조정하고, 필요시 현장에서 조절눈금판 조정으로 풍량조절이 가능 하여야 한다.

(2) 가변풍량 유닛에는 흡음장치가 있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3) 케이싱, 바디 및 기타부속품은 내식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4) 기타 제품 규격은 각 제작회사의 기준에 따르되 제작기준은 공사감독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14 팬파워드 유닛

(1) 팬파워드유닛(FPU)은 송풍기, 풍량조절 장치, 풍속감지기, 가열코일, 프리필터, 콘트롤박스 및 케이싱과 보온재로 구성된다.

(2) 케이싱은 녹이 슬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고, 공기누설이 없도록 제작하며 내부점검이 쉬운 구조로 한다.

(3) 풍량조절 댐퍼는 풍량조절이 잘되는 구조로 하고, 댐퍼 개도범위는 90도가 되도록 하며 댐퍼 샤프트는 내식성 및 강도를 충분히 갖는 재료로 제작한다.

(4) 송풍기는 2.1에 따르며, 기타 제품사양은 각 제작회사의 기준에 따르되 제작기준은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승인을 받는다.

2.15 항온항습기

2.15.1 일반사항

제품의 선정은 KS 표시 인증제품 또는 KAS를 받은 단체표준인증 제품으로 하되 없는 경우에는 KS 표준 또는 단체표준을 참조하여 성능이 검증되는 우수제품을 사용한다.

2.15.2 시험 및 검사

시험 및 검사는 SPS-KARSE B 0002-0164에 따른다.

2.16 멀티전기히트펌프 시스템 및 열펌프

2.16.1 일반사항

(1) 적용범위냉방 및 냉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멀티전기히트펌프 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한다.

(2) 참조표준다음 표준은 본 코드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기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3) 한국산업표준KS T 1028 점착 테이프 및 점착시트 시험방법KS B 1002 6각 볼트KS B 1012 6각 너트KS B 1101 냉간 성형 리벳

2.16.2 멀티전기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

(1) 일반사항실외기, 실내기 및 그 외의 부속장치로 구성된다.

(2) 멀티전기히트펌프 시스템 장비

① 실외기열교환기, 압축기, 송풍기, 제어장치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기계 설치부와 열교환기 및 송 풍기 장착부로 구분되며, 공랭식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장착된 것을 공기열원 실외기라 한다.

② 실내기열교환기, 송풍기, 제어장치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③ 압축기 증발기로부터 저압의 냉매증기를 흡입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증기로 만드는 기계이다.

④ 열교환기냉매와 실내공기, 실외공기 또는 냉각수 사이의 열교환을 하는 기기이다.

⑤ 송풍기실외기 장착된 송풍기는 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 시킨 후 배출하는 역할을, 실내기에 내장된 송풍기는 열교환기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 시킨 후 공기조화용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⑥ 제어기기실내 부하변동에 따른 냉난방 용량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팽창기구, 압축기 용량조절 장치, 풍량 조절 장치 및 유선 또는 무선 제어기 등을 포함한다.

⑦ 부속기기상기 ① ~⑥을 제외한 구성요소를 부속기기라 한다.


2.17 세대난방용 온수분배기 시스템

사용 자재 및 기기는 KS표시 인증제품 또는 KAS를 취득한 단체표준 인중제품으로 하되 없는 경우에는 KS 표준 또는 단체표준을 참조하여 성능이 검증되는 우수제품을 사용한다.

3. 시공

3.1 시공일반

(1) 기초는 기기의 중량 및 외력에 견디고, 설치에 필요한 지지면을 갖는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콘크리트조로 하며, 지지력이 있는 바닥 또는 지반위에 설치한다.

(2) 기기는 고정 강도를 갖는 앵커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3) 본체에는 배관 등의 중량이 직접 걸리지 않게 시공한다.

(4) 전문시방서의 지시에 따라 방진재를 사용할 때의 방진재의 특성과 갯수는 기기의 진동수, 운전시의 중량, 진동전달율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3.2 송풍기의 설치

(1) 바닥설치형일 때에는 콘크리트기초 또는 형강제 베드위에 직접 고정하거나 방진재를 사용하여 방진구조위에 설치한다.

(2) 천정걸이형일 때에는 송풍기의 운전중량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와 강도를 가진 형강제 철물을 이용하여 건물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필요시 방진재를 사용하여 진동의 전달을 방지한다.

(3) 축류송풍기를 덕트에 설치할 때에는 (2)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4) 덕트와 접속하는 송풍기의 흡입측과 토출 측에는 플렉시블 이음을 설치한다.

(5) 에너지절약적인 운전이 필요한 공간(지하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송풍기는 KCS 31 35 15에 따라 자동제어기기를 결합하여 설치한다.

(6) 환기 및 제연겸용으로 사용하는 송풍기(지하주차장 등)는 필요에 따라 2단으로 풍량을 자동조절 하거나 대수제어가 가능하도록 환기시스템을 구성한다.

3.3 공기냉각 및 가열코일의 설치

(1) 코일의 케이싱과 공기조화기 등의 연결케이싱 또는 덕트의 상대플랜지는 직접 접속하고 기밀성이 좋게 시공한다.

(2) 코일은 공기와 물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한다. 또한 수평을 유지하고, 관내의 수분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시공한다.

3.4 공기 열교환기의 설치

(1) 바닥위에 수평으로 보기가 좋고 보수, 점검 등이 쉽도록 설치한다.

(2) 방진재는 3.1(4)에 따른다.

3.5 가습기의 설치

(1) 가습기 본체를 공기조화기내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 본체가 수평이 되도록 하고, 보수, 유지가 쉽게 설치한다.

(2) 가습기를 공조기의 측면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강판을 사용하는 등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시공한다.

(3) 가압수분무식 가습기의 노즐은 분무된 물방울이 공기조화기의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설치위치와 각도를 조정한다.

3.6 공기여과기의 설치

(1) 설치틀과 공기여과기는 기밀성이 있고 풍압에 견디며 교체가 쉽게 설치한다.

(2) 공기여과기 전면에 공기가 균등하게 흐르도록 덕트 또는 케이싱을 접속한다.

3.7 공기조화기의 설치

(1) 패키지형 공기조화기는 3.4에 따른다.

(2) 팬코일 유닛 및 유인 유닛

① 바닥 설치형은 벽 또는 바닥에 견고하고 보기 좋게 설치한다.

② 천장걸이형은 걸이철물 등으로 수평으로 견고하게 설치한다. 은폐 설치할 때에는 보수 및 점검이 쉽도록 설치한다.

(3) 공기조화기

① 주변에 보수, 점검 등이 쉽도록 공간을 확보한다.

② 송풍기분리형의 경우에 다른 부분과는 플렉시블 이음과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③ 배수판의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간접배수를 하며 연결 배수트랩의 봉수 깊이는 송풍기의 정압 이상으로 확보한다.

④ 공기냉각 및 가열코일의 설치는 3.3에 따른다.

⑤ 공기여과기의 설치는 3.6에 따른다.

3.8 방열기의 설치

3.8.1 주철제 방열기

(1) 바닥설치형 방열기벽면으로부터 60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2) 벽걸이 방열기

① 벽걸이 방열기에 사용하는 걸이철물의 갯수는 다음 표에 따른다.

② 벽걸이철물 설치위치는 양쪽 끝으로 두 번째와 세 번째 쪽 사이로 한다. 중간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사이를 등분한 위치로 한다.

표 3.8-1 벽걸이 방열기의 걸이철물 수

종별 벽걸이철물의 개수
2 3 4
수직형
수평형
2~4쪽
2~3쪽
5~8쪽
4~6쪽
9~12쪽
7~9쪽

3.8.2 핀튜브 방열기와 팬컨벡터의 설치

(1) 코일의 기울기가 역방향이 되지 않도록 하고 벽면에서 60 mm 이격하여 설치한다.

(2) 바닥설치형일 때에는 고정철물을 사용하여 벽체 또는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한다.


3.9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설치

(1) 창문형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창문틀 또는 벽에 설치하며 보수 및 점검 등이 쉽도록 설치한다.

(2) 덕트형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공기여과재 및 송풍기모터의 교체가 쉽도록 점검구를 설치한다.

(3) 덕트형 열회수형 환기창치에 분배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그 하부에 점검구를 설치한다.

(4) 덕트형 열회수형 환기장치 가동에 의한 실내소음이 기준을 초과할 시는 소음기를 설치한다.

(5) 덕트형 및 창문형 열회수형 환기장치가 정지할 때에는 자동으로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하는 댐퍼를 설치한다.

(6)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주방 및 화장실 배기시스템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7) 방진재는 3.1(4)에 따른다.

3.10 멀티전기히트펌프 시스템 설치

3.10.1 일반사항

(1) 제품의 성능확보를 위하여 반드시 전문시공업자가 설치하며, 공사는 제작업체의 설치지침에 따라야 한다.

(2) 운반 또는 설치 시 제품의 낙하나 외부로부터 심한 충격 등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고 표면손상이나 긁힘과 같은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한다.

(3) 실내기를 밀폐된 좁은 공간에 설치 시 허용 값 이상의 냉매증기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실내 측에 별도의 환기장치를 설치한다.

(4) 개별환기 또는 중앙환기 장치와 함께 설치할 경우에는 제작업체의 설치지침을 따르고 환기용 덕트공사는 KCS 31 20 20에 따른다.

3.10.2 실외기 설치

(1) 공통사항

① 실외기의 설치장소 주변 인접실 또는 인접건물에 미치는 소음, 진동의 영향을 고려한다.

② 실외기의 열 및 전자파가 다른 전기제품이나 통신선, 전원선 등의 주변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하여 설치한다.

③ 전자파 발생 장비나 고온의 배기열 또는 부식성이 강한 배기가스가 발생하는 배기구 등과 충분히 이격하여 설치한다.

④ 제조사에서 규정하는 배관길이 및 허용 높이 내에서 설치한다.

⑤ 실외기를 집단으로 설치할 경우, 상호 간섭에 의한 영항이 없도록 제작업체의 지침에 따라 적정거리를 유지하여 설치한다.

⑥ 아래의 장소에 실외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가.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는 장소나. 기름(기계류 포함)이 많은 장소다. 산성용액이나 유황가스가 많은 장소라. 설치환경이 특수하여 부적합한 장소

(2) 공랭식 멀티전기히트펌프 시스템

① 실외기의 배기열기가 사람의 몸에 직접 쏘이지 않도록 조치한다.

② 강설지역에서는 낙설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고, 적설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외기 설치대 또는 기초를 높게 설치하며 필요 시 방설장치를 설치한다.

③ 옥상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하여 인접실에 진동전달의 우려가 있을 경우 적절한 방진장치를 설치하며, 방진장치의 설치 사양은 제작업체의 자체기준을 따른다.

④ 실외기가 지붕 위에 설치되는 경우, 특히 지붕 슬래브의 구조 강도에 특별히 주의하고 반드시 방수가 되도록 한다.

⑤ 실외기가 옥상위에 설치되는 경우 낙뢰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⑥ 실외기의 설치는 기류순환, 설치 및 서비스 등을 고려하여 공간을 확보한다.

⑦ 여러 대의 실외기를 집합 설치할 경우, 공기의 유입에 지장을 주는 벽이 있으면 통풍공간을 확보한다. 통풍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토출 덕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작업체의 설치지침에 따라야 한다.

⑧ 실외기를 별도의 실외기실에 설치할 경우 원활한 배기와 신선한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기류 순환을 고려하고 루버의 개구율은 충분히 확보하고 루버의 형상은 정압손실, 마찰소음 등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고려한다.

3.10.3 실내기 설치

(1) 흡입구, 토출구 부근에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고 냉풍 또는 온풍이 방 전체를 고르게 퍼져 나갈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2) 실내기가 설치되는 구조물이 실내기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구조물의 하중강도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실내기 설치 전에 보강한다.

(3) 실내기는 수평이 되도록 설치한다.

(4) 덕트형 실내기의 설치에 따른 덕트공사는 KCS 31 20 20에 따른다.

(5) 실내기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공간은 필터 교체 및 점검 등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반드시 확보한다.

(6) 흡입 및 토출구는 천장 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틈새로 인한 능력저하, 이물질 유입 우려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7) 아래의 장소에 실내기가 설치되는 경우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① 공장 등 절삭유 또는 절삭 철분이 많이 발생하는 곳

② 가연성의 가스가 발생하거나 유입 또는 체류 되는 곳

③ 아류산 가스 및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는 곳

④ 고주파가 발생하는 기계가 있는 곳

⑤ 기름성분이 부유하는 장소

3.10.4 냉매배관 설치

(1) 냉매배관은 운반이나 보관 중에도 이물질의 침투를 막기 위해서 양 끝단을 캡이나 테이프 등으로 막아서 보관한다.

(2) 냉매배관 길이는 제작업체에서 제시하는 최대허용길이, 허용고저 차, 분기 후 허용길이 등을 고려하여 설치한다.

(3) 입상배관은 냉매배관의 하중을 고려하여 제조사에서 규정하는 적절한 간격으로 지지 및 고정한다.

(4) 입상배관은 냉매배관의 하중을 고려하여 제조사에서 규정하는 적절한 간격으로 지지 및 고정한다.

(5) 기타 냉매배관 설치 시 고려사항은 KCS 31 20 15에 따른다.

3.10.5 냉매배관 단열재(보온재) 시공

(1) 단열재는 액관ㆍ가스관을 분리하여 보온한다.

(2) 배관 단열재의 과도한 테이핑 마감처리나 클램프 작업 시 단열재 내부 공기층이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3) 냉매배관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보온재가 서로 눌려지지 않도록 한다. 단, 배관의 꺾임이나 공간이 협소하여 단열재가 눌릴 경우 제조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단열재를 보강한다.

(4) 기타 사항은 제 장 절 보온공사의 기준 또는 제작업체의 기준을 따른다.

3.10.6 냉매배관 커버시공

(1) 냉매배관이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며, 외부로 노출시 냉매배관 커버공사를 한다.

(2)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될 수 있도록 필요 시 현장조건에 맞추어 실내 배관 커버공사를 실시한다.

(3) 옥상이나 지상에서 벽면에 접하지 않고 시공된 냉매배관 보호를 위해 배관트레이를 시공한다.

3.10.7 응축수 배수 공사

(1) 응축수 배관은 경질염화비닐관(PVC)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춘 재질을 사용한다.

(2) 응축수 배관 기울기는 반드시 1/100 이상이 되도록 유지한다.

(3) 응축수 배관은 배관표면에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보온을 하고, 보온재의 재질 및 두께는 KS F 2803 또는 제작업체의 설치지침 이상으로 한다.

(4) 수평 및 수직 응축수 배관은 제조사의 규정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지지 및 고정한다.

(5) 응축수 배관공사 완료 후 반드시 제작업체의 설치지침에 따라 배수상태 및 누수여부를 확인한다.


3.10.8 슬리브 배관 공사

(1) 벽, 바닥 및 지붕 등을 관통하는 배관에는 관통부에 슬리브를 매설하며, 슬리브의 재질은 일반 강관, 1.2 mm 이상 강판 또는 일반용 경질 염화비닐관 등 KCS 31 20 15에 따르거나 동등 이상의 강도, 내식성 및 내열성 등을 가진 것으로 하며, 철골조 타공 시에는 구조 검토를 통해 적절하게 구조를 보강한다.

(2) 노출부분, 소음방지가 필요한 부위 및 건축법, 소방법에 의한 방화구획 등은 법규에 적합한 불연재로 채워 넣는다.

(3) 외벽 및 지붕 등 외부에 노출된 부위를 관통 시에는 지하수 및 우수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콜타르, 아스팔트, 콤파운드 등 수밀성, 내수성이 있는 재료로 시공한다.

(4) 슬리브 관경은 배관 설치작업의 편리성 및 배관 보온재 등의 보호를 위해 배관의 외경(보온된 것은 보온피복 외경)보다 충분히 큰 관경을 선정한다.

3.10.9 전기공사 일반

(1) 전원, 접지 및 통신선의 규격(재질, 굵기, 결선 방식 등)은 KCS 31 60 00, KCS 31 65 00, KCS 31 75 00KCS 31 80 20에 따르거나 제작업체의 기준을 따른다.

(2) 누전 및 과전류 차단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선정 및 시공방법 등은 제작업체의 기준을 따른다.

(3) 멀티전기히트펌프는 멀티 전원을 이용하는 기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합된 방식으로 모든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주전원스위치를 설치한다.

(4) 통신선이 정해진 길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내/외기간의 통신이상으로 제품의 운전이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제작업체 설치지침상의 배선길이를 준수한다.

(5) 통신선, 실내전원선, 주전원선은 반드시 전선관 넣어서 보호한다.

(6) 전기 공사는 내선 규정을 따른다.

3.10.10 중앙관제설비공사

중앙관제설비는 중앙제어 및 감시장치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공기조화설비 등에 관련된 운전 및 자동제어에 관한 종합적인 관리를 행하는 것으로 중앙관제설비를 연동하여 제어할 경우에는 제어업체와 제작업체의 협의를 통해 시공한다.

3.10.11 유선 제어기 및 무선 제어기

실내에 설치되는 유선제어기, 무선제어기 및 수신기는 출입문 등의 개폐 시 외부 유입공기에 의한 영향을 작게 받을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며, 일반적으로 바닥으로 부터 약 1.5 m의 높이에 설치한다.

3.10.12 설치 후 점검

(1) 전원 투입 전 점검사항

① 초기설정이 필요한 경우 제작업체의 기준에 따라 제대로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②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 용량은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③ 전원 공급 배선이 정확하고 체결부위가 단단히 고정되었는지 확인한다.

④ 통신 배선이 정확하고 체결부위가 단단히 고정되었는지 확인한다.

⑤ 냉매 배관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⑥ 배관은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되었는지, 단열이 정확히 되었는지 확인한다.

⑦ 배관길이에 따라 추가 냉매량이 맞는지 확인한다.

⑧ 실내기 응축수 배수관 누수시험은 실시하였는지 확인한다.

⑨ 점검결과를 제작업체 또는 현장여건에 적합한 점검양식에 작성한다.

(2) 전원 투입 후 점검사항

① 실내기 및 실외기 인가전압은 허용범위 이내인지 확인한다.

② 실내기 및 실외기 디스플레이(display)에 오류 표시는 없는지 확인한다.

③ 제품의 누전상태를 확인한다.

④ 점검결과를 제작업체 또는 현장 여건에 적합한 점검양식에 작성한다.

3.10.13 시운전

(1) 실외기 서비스 밸브 및 실외기간 연결배관의 밸브를 완전히 열고, 전원스위치를 On 상태로 올린다.

(2) 시운전을 시작하여 실외기에서 운전전압 및 운전전류와 냉매의 압력을 검사한다.

(3) 실내기에서 응축수 누수가 없는지를 반드시 확인한다.

(4) 유선 제어기 및 무선 제어기의 동작을 확인한다.

(5) 중앙제어기가 설치되었을 경우 그룹별로 설정을 하여 그룹별로 운전되는지, 개별로 운전이 되는지 확인한다.

(6) 컴퓨터 또는 제품자체의 표시장치나 전류측정기를 사용하여 시운전상황을 점검하여 정상운전 여부를 확인하고 시운전 양식에 기록한다.

3.11 세대난방용 온수분배기 시스템

(1) 온수분배기의 몸체는 공기빼기밸브가 있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두어 공기빼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2) 온수분배기 시스템은 조작, 점검, 보수가 쉬운 공간에 설치한다.

(3) 각방 온도조절밸브가 달려 있는 분배기 몸체에는 방이름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4) 기타 사항은 KCS 31 35 25에 따른다.

3.12 시험 및 검사

제품의 시험 및 검사는 해당 KS표준 또는 단체표준에 따른다.

3.13 커미셔닝

커미셔닝은 KCS 31 20 25에 따른다.

 

👇함께보면 좋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