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탕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30 20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서
"
안녕하세요 건설 다모아입니다.
이번 내용은 급탕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입니다.
"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급탕설비공사의 적용 범위는 KCS 31 30 20 (1.1) 에 따르되 아래 사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 (2) 태양열을 이용한 급탕설비(3)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22조 및 제23조 등에 따라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지식경제부고시 제2010 – 223호)의 적용범위에 있는 기자재의 경우, 고효율에너지기자재로 인증을 취득한 기자재 또는 동등이상의 효율을 가진 것으로 한다.
1.2 참고 기준
(1) 참고 기준은 KCS 31 30 20 (1.2) 에 따르되 아래의 사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 (2) KS B 1536 벨로우즈형 신축 관이음(3) KS B 5302 유리제 온도계(전체담금)(4) KS B 5305 부르동관 압력계(5) KS B 6034 가정용 기름 온수기(6) KS B 6753 동력 보일러(7) KS B 6352 안전 밸브의 분출 계수 측정 방법(8) KS B 8110 저장식 가스 온수기(9) KS C 9805 가정용 축열식 전기보일러 및 저탕식 전기 온수기(10)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11) KS D 3560 보일러 및 압력 용기용 탄소강 및 몰리브데넘강 강판(12) KS D 3698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13)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 관
1.3 용어의 정의
(1)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1.4 장비의 명판
(1) 장비의 명판은 EXCS 31 30 15 (1.4) 에 따른다.
2. 자재
2.1 일반자재
2.1.1 자동온도조절기
(1) 자동온도조절기는 KCS 31 30 20 (2.1.1) 에 따른다.
2.1.2 자동온도조절밸브
(1) 자동온도조절밸브는 KCS 31 30 20 (2.1.2) 에 따른다.
2.1.3 신축이음
(1) 신축이음은 KCS 31 20 15 (2.2.13) 에 따른다.
2.1.4 온수공급용 밸브류(공기빼기밸브, 감압밸브, 볼탭, 안전밸브, 전자밸브)
(1) 온수공급용 밸브류는 EXCS 31 30 15 (2.7)에 따른다.
2.1.5 스트레이너, 신축이음 및 방진장치
(1) 스트레이너, 신축이음 및 방진장치는 EXCS 31 30 15 (2.6) 에 따른다.
2.1.6 계기 및 계량장치
(1) 압력계, 진공계, 연성계(복합압력계) 및 수위계① 압력계, 진공계, 연성계(복합압력계) 및 수위계는 KCS 31 20 15 (2.5.3) 에 따른다.(2) 온도계① KS B 5302 제품으로 한다.(3) 수주온도계① 수주 및 온도 2가지를 표시한 눈금을 갖는 제품으로 수주의 최고 눈금은 사용 압력의 1.5∼3배, 온도의 최고 눈금은 최고 사용온도의 1.5배인 제품으로 한다.(4) 온수용 계량기① 온수용 계량기는 KCS 31 20 15 (2.5.8) 에 따른다.
2.1.7 자동제어기기
(1) 자동제어기기는 KCS 31 35 15 (2.7)에 따른다.
2.2 온수공급용 보일러(대형 또는 중형)
2.2.1 일반사항
(1) 온수공급용 보일러의 일반사항은 KCS 31 30 20 (2.2.1) 에 따르되 아래의 사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 (2) 보일러에 부착되는 버너는 KS 제품 또는 이에 준하는 제품으로 관계 법규에 의한 검사를 받은 제품으로 한다.
2.2.2 강철제 보일러
(1) 보일러의 재료 및 구조는 KS B 6753에 따르고, 보일러의 검사 및 설치 등은 열사용기자재의 검사 및 검사면제에 관한기준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0 - 174호)에 따른다.(2) 강철제보일러는 다음의 부속품을 구비한다(1 대당).
표 2.2-1 강철제 보일러의 부속품 기준
명 칭 | 적 요 | 수량 | 비 고 |
자동온도 조절기 | 온도조절범위:35 ~ 95℃ | 1식 | |
버너장치 | 1)가스버너: 액화석유가스의 안전 및 사업관리법에 의한 검사를 받은 제품 2)오일버너: KS B 6221, 6222, 6223 표준에 준하는 제품 | 1식 | 사용상 충분한 조절, 교환, 원활한 조작이 가능하고, 지정된 연료를 가장 좋은 효율로 연소시킬 수 있어야 하며, 운전 중 소음이 적고, 기능이 확실한 제품 |
안전장치 | 1)화염 감시장치 및 가연가스 배출장치 2)전동기 과부하 방지장치 3)온수온도 제어장치 4)과전류 보호장치 | 1식 | 보일러의 안전운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안전장치 구비 |
릴리프밸브 | 1)호칭지름 20mm 이상 2)전밀폐형 구조로서 Cap 또는 Packed Lever Type으로 외부에 Vent Hole이 없을 것 | 1식 | 릴리프 밸브 대신 릴리프 관을 사용할 수도 있음 |
배기가스 감시장치 | 1식 | 필요한 경우 | |
온 도 계 | 1식 | 배기가스용 및 온수용 | |
압 력 계 | KS B 5305 제품 | 1식 | |
감압체크 밸브 | 1식 | 필요한 경우 | |
양 극 봉 | 1식 | 필요한 경우 | |
연도댐퍼 | 1식 |
2.3 온수공급용 보일러(소형)
2.3.1 일반사항
(1) 온수공급용 보일러의 일반사항은 KCS 31 30 20 (2.3.1) 에 따른다.
2.3.2 전기보일러
(1) 전기보일러는 KCS 31 30 20 (2.3.2) 에 따른다.
2.3.3 기름연소 온수 보일러
(1) 기름연소 온수 보일러는 KCS 31 30 20 (2.3.3) 에 따른다.
2.3.4 가스 온수보일러
(1) 가스 온수보일러는 KCS 31 30 20 (2.3.4) 에 따른다.
2.4 순간온수기
2.4.1 일반사항
(1) 순간온수기의 일반사항은 KCS 31 30 20 (2.4.1) 에 따른다.
2.4.2 전기온수기
(1) 전기온수기는 KCS 31 30 20 (2.4.2) 에 따른다.
2.4.3 축열식 전기온수기
(1) 축열식 전기온수기는 KCS 31 30 20 (2.4.3) 에 따른다.
2.4.4 가스용 저장온수기
(1) 가스용 저장온수기는 KCS 31 30 20 (2.4.4) 에 따른다.
2.4.5 가스 순간온수기
(1) 가스 순간온수기는 KCS 31 30 20 (2.4.5) 에 따른다.
2.5 증기온수기(개방형 온수 저장식)
(1) 증기온수기는 KCS 31 30 20 (2.5) 에 따른다.
2.6 태양열 이용 온수기
(1) 태양열 이용 온수기는 KCS 31 30 20 (2.6) 에 따른다.
2.7 배기통, 연도 및 연돌
(1) 배기통, 연도 및 연돌은 KCS 31 30 20 (2.7) 에 따른다.
2.8 펌프
(1) 펌프는 KCS 31 30 20 (2.8) 에 따르되 아래의 사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 (2) 전동기 표준은 KS C 4204 또는 KS C 4202 제품으로 전동기가 축이음으로 직결된 수평형 혹은 수직형의 것 또는 전동기 측단에 임펠러가 설치되는 구조의 제품으로 한다.
2.9 온수 저장탱크
(1) 온수 저장탱크는 KCS 31 30 20 (2.9.1) 에 따른다.
2.10 개방형 팽창탱크
(1) 개방평 팽창탱크는 KCS 31 30 20 (2.9.2) 에 따른다.
2.11 저유탱크 및 오일서비스 탱크
(1) 저유탱크 및 오일서비스 탱크는 KCS 31 30 20 (2.9.3) 에 따른다.
2.12 밀폐형 팽창탱크
(1) 밀폐형 팽창탱크는 KCS 31 30 20 (2.9.4) 에 따른다.
3. 시공
3.1 일반사항
(1) 시공 일반사항은 KCS 31 30 20 (3.1) 에 따르되 아래의 사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기기 및 배관의 설치는 관계법규에 합당하여야 한다.
3.2 온수공급용 기기 설치
3.2.1 온수공급용 보일러(대형 및 중형)
(1) 온수공급용 보일러(대형 및 중형)는 KCS 31 30 20 (3.2.1) 에 따른다.
3.2.2 온수공급용 보일러(소형)
(1) 온수공급용 보일러(소형)는 KCS 31 30 20 (3.2.2) 에 따른다.
3.2.3 버너 및 전기히터 설치
(1) 버너 및 전기히터 설치는 KCS 31 30 20 (3.2.3) 에 따른다.
3.2.4 순간온수기
(1) 순간온수기는 KCS 31 30 20 (3.2.4) 에 따른다.
3.2.5 증기온수기
(1) 증기온수기는 KCS 31 30 20 (3.2.5) 에 따른다.
3.2.6 태양열 이용 온수기
(1) 태양열 이용 온수기는 KCS 31 30 20 (3.2.6) 에 따른다.
3.3 급배기통의 부착
(1) 급배기통의 부착은 KCS 31 30 20 (3.3) 에 따른다.
3.4 철판제 연도의 부착
(1) 철판제 연도의 부착은 KCS 31 30 20 (3.4) 에 준한다.
3.5 펌프의 설치
3.5.1 온수순환용 원심펌프
(1) 온수순환용 원심펌프는 KCS 31 30 20 (3.5.1) 에 따른다.
3.5.2 오일용 펌프
(1) 오일용 펌프는 KCS 31 30 20 (3.5.2) 에 따른다.
3.6 탱크류의 설치
3.6.1 온수저장탱크, 개방식 및 밀폐형 팽창탱크
(1) 온수저장탱크, 개방식 및 밀폐형 팽창탱크는 KCS 31 30 20 (3.6.1) 에 따른다.
3.6.2 저유탱크 및 오일서비스 탱크
(1) 온저유탱크 및 오일서비스 탱크는 KCS 31 30 20 (3.6.2) 에 따른다.
3.7 자동온도 조절밸브의 부착
(1) 자동온도 조절밸브의 부착은 KCS 31 30 20 (3.7) 에 따른다.
3.8 온수공급 계량기의 설치
(1) 온수공급 계량기의 설치는 KCS 31 30 20 (3.8) 에 따른다.
3.8 배관
(1) 배관은 EXCS 31 65 10 및 KCS 31 30 20 (3.9)에 따른다.
3.9 시험 및 검사
3.9.1 제품시험 및 검사
(1) 제품시험 및 검사는 KCS 31 30 20 (3.10.1) 에 따른다.
3.9.2 현장시험 및 검사
(1) 현장시험 및 검사는 KCS 31 30 20 (3.10.2) 에 따른다."
출처 : 국가건설기준센터
'시방서 > EXCS 고속도로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처리시설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30 30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 (0) | 2025.04.03 |
---|---|
배수통기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30 25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 (0) | 2025.04.03 |
공기조화기기 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25 15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서 (0) | 2025.04.03 |
열원기기 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25 10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서 (0) | 2025.04.03 |
덕트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20 20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서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