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덕트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20 20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서

덕트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20 20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서

"

덕트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31 20 20 한국고속도로공사 전문 시방서

"

안녕하세요 건설 다모아입니다.

건설 관련 용어모음 확인하기

이번 내용은 덕트설비공사(부대시설편) EXCS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입니다.

국내 시방서 리스트 확인하기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덕트설비공사의 적용 범위는 KCS 31 20 20 (1.1) 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 참고 기준은 KCS 31 20 20 (1.2) 에 따르되 아래의 사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 (2) KS D 3556 피아노 선(3) KS L 9102 인조 광물섬유 단열재(4) KS M ISO11833-1 플라스틱 — 무가소화 폴리염화비닐(PVC-U) 시트 — 종류, 치수 및 특성 — 제1부: 두께 1 mm 이상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2. 자재

2.1 일반사항

(1) 일반사항은 KCS 31 20 20 (2.1) 에 따른다.

2.2 덕트용 자재

(1) 덕트용 자재는 KCS 31 20 20 (2.2)에 따르되 아래의 사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유리면은 KS L 9102에 따른다.

2.3 접합재료 및 지지재료

2.3.1 강재

(1) 강재는 KCS 31 20 20 (2.3.1) 에 따른다.

2.3.2 리벳

(1) 리벳은 KCS 31 20 20 (2.3.2) 에 따른다.

2.3.3 볼트 및 너트

(1) 볼트 및 너트는 KCS 31 20 20 (2.3.3) 에 따른다.

2.3.4 플랜지용 개스킷

(1) 플랜지용 개스킷은 KCS 31 20 20 (2.3.4) 에 따른다.

2.3.5 밀봉(Seal)재

(1) 밀봉(Seal)재는 KCS 31 20 20 (2.3.5) 에 따른다.

2.3.6 땜납

(1) 땜납은 KCS 31 20 20 (2.3.6) 에 따른다.

2.4 덕트용 부속품

2.4.1 외기 흡입 및 배기 루버

(1) 외기 흡입 및 배기 루버는 KCS 31 20 20 (2.4.1) 에 따른다.

2.4.2 토출구, 흡입구

(1) 토출구, 흡입구는 KCS 31 20 20 (2.4.3) 에 따른다.

2.4.3 풍량 조절댐퍼

(1) 풍량조절댐퍼는 KCS 31 20 20 (2.4.4) 에 따른다

2.4.4 방화댐퍼

(1) 방화댐퍼는 KCS 31 20 20 (2.4.5) 에 따른다.

2.4.5 방화겸용 풍량 조절댐퍼

(1) 방화겸용 풍량 조절댐퍼는 KCS 31 20 20 (2.4.6) 에 따른다.

2.4.6 피스톤댐퍼

(1) 피스톤댐퍼는 KCS 31 20 20 (2.4.7) 에 따른다.

2.4.7 정풍량 조정장치 및 가변풍량 조정장치

(1) 정풍량 조정장치 및 가변풍량 조정장치는 KCS 31 20 20 (2.4.8) 에 따른다.

2.4.8 플렉시블덕트

(1) 플렉시블덕트는 KCS 31 20 20 (2.4.9) 에 따른다.

2.4.9 캔버스 이음

(1) 캔버스 이음은 KCS 31 20 20 (2.4.10) 에 따른다.

2.4.10 점검구 및 청소구

(1) 점검구 및 청소구는 KCS 31 20 20 (2.4.11) 에 따른다.

2.4.11 배연구

(1) 배연구는 KCS 31 20 20 (2.4.12) 에 따른다.

2.4.12 소음기

(1) 소음기는 KCS 31 20 20 (2.4.13) 에 따른다.

2.4.13 풍량측정구

(1) 풍량측정구는 KCS 31 20 20 (2.4.14) 에 따른다.

2.4.14 계기류

(1) 계기류는 KCS 31 20 20 (2.4.15) 에 따른다.


3. 시공

3.1 일반사항

(1) 덕트설비공사 시공의 일반사항은 KCS 31 20 20 (3.1) 에 따른다.

3.2 덕트의 제작 및 설치

3.2.1 아연도금 철판제 및 알루미늄 아연합금도금 강판제 덕트

(1) 아연도금 철판제 및 알루미늄 아연합금도금 강판제 덕트는 KCS 31 20 20 (3.2.1) 에 따른다.

3.2.2 스테인리스강판제 덕트

(1) 스테인리스강판제 덕트는 KCS 31 20 20 (3.2.2) 에 따른다.

3.2.3 경질염화비닐판제 덕트

(1) 경질염화비닐판제 덕트는 KCS 31 20 20 (3.2.3) 에 따른다.

3.2.4 유리섬유 덕트

(1) 유리섬유 덕트는 KCS 31 20 20 (3.2.3) 에 따른다.

3.3 연결케이싱의 제작 및 설치

(1) 연결케이싱의 제작 및 설치는 KCS 31 20 20 (3.3) 에 따른다.

3.4 주방용 배기후드와 배기덕트의 제작 및 설치

(1) 주방용 배기후드 와 배기덕트의 제작 및 설치는 KCS 31 20 20 (3.4) 에 따른다.

3.5 제연덕트의 제작 및 부착

(1) 제연덕트의 제작 및 부착은 KCS 31 45 25에 따른다.

3.6 덕트용 부속품의 설치

3.6.1 외기흡입 루버의 설치

(1) 외기흡입 루버의 설치는 KCS 31 20 20 (3.6.1) 에 따른다.

3.6.2 배기루버의 설치

(1) 배기루버의 설치는 KCS 31 20 20 (3.6.2) 에 따른다.

3.6.3 토출구와 흡입구의 설치

(1) 토출구와 흡입구의 설치는 KCS 31 20 20 (3.6.3) 에 따른다.

3.6.4 풍량조절 댐퍼의 설치

(1) 풍량조절 댐퍼의 설치는 KCS 31 20 20 (3.6.4) 에 따른다.

3.6.5 방화댐퍼의 설치

(1) 방화댐퍼의 설치는 KCS 31 20 20 (3.6.5) 에 따른다.

3.6.6 방화겸용 풍량조절댐퍼의 설치

(1) 방화겸용 풍량조절댐퍼의 설치는 KCS 31 20 20 (3.6.6) 에 따른다.

3.6.7 피스톤댐퍼의 설치

(1) 피스톤댐퍼의 설치는 KCS 31 20 20 (3.6.7) 에 따른다.

3.6.8 정풍량 조정장치 및 가변풍량 조작장치의 설치

(1) 정풍량 조정장치 및 가변풍량 조작장치의 설치는 KCS 31 20 20 (3.6.8) 에 따른다.

3.6.9 플렉시블 덕트의 설치

(1) 플렉시블 덕트의 설치는 KCS 31 20 20 (3.6.9) 에 따른다.

3.6.10 점검구 및 청소구의 설치

(1) 점검구 및 청소구의 설치는 KCS 31 20 20 (3.6.10) 에 따른다.

3.6.11 배연구의 설치

(1) 배연구의 설치는 KCS 31 20 20 (3.6.11) 에 따른다.

3.6.12 풍량측정구의 설치

(1) 풍량측정구의 설치는 KCS 31 20 20 (3.6.12) 에 따른다.

3.6.13 소음장치의 설치

(1) 소음장치의 설치는 KCS 31 20 20 (3.6.13) 에 따른다.

3.6.14 계기류의 부착

(1) 계기류의 부착은 KCS 31 20 20 (3.6.14) 에 따른다.

3.7 시험 및 검사

3.7.1 공기조화 및 환기, 제연겸용 덕트의 시험 및 검사

(1) 공기조화 및 환기, 제연겸용 덕트의 시험 및 검사는 KCS 31 20 20 (3.7.1) 에 따른다.

3.7.2 배연덕트의 시험 및 검사

(1) 배연덕트의 시험 및 검사는 KCS 31 20 20 (3.7.2) 에 따른다.

3.7.3 공기조화 및 환기용덕트의 누기 시험

(1) 공기조화 및 환기용덕트의 누기시험은 KCS 31 20 20 (3.7.3) 에 따른다.

3.8 커미셔닝

(1) 커미셔닝은 KCS 31 20 20 (3.8) 에 따른다.

건설 관련 용어모음 확인하기

출처 : 국가건설기준센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