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하수도관 연결 공통사항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하수도관 연결 공통사항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하수도관 연결 공통사항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

안녕하세요 건설 다모아입니다.

건설 관련 용어모음 확인하기

이번 내용은 하수도관 연결 공통사항 SMCS 서울시 전문시방서입니다.

국내 시방서 리스트 확인하기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하수도관 연결의 적용 범위는 KCS 61 20 35 (1.1.1) 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KCS 61 20 35 하수도관 연결

SMCS 57 30 20 상수도 관종별 접합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1) 하수도관 연결의 제출물은 KCS 61 20 35 (1.1.3) 에 따른다.

2. 자재

2.1 연결재

(1)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관의 크기와 단부 형태에 적합한 가지달린 관, 지관, 맨홀접속관, 트랩 및 기타 필요한 형태의 것이라야 한다.

3. 시공

3.1 시공 일반사항

(1) 하수도관 연결의 시공 일반사항은 KCS 61 20 35 (1.3.1) 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61 20 35 (1.3.1)에서 명시된 항목 외에 다음 (2)~(5)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본관과 연결관의 접합 시 유수 소통에 지장이 없도록 정확하게 시공하여야 하며, 접합부분 에서는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3) 소켓접합은 고무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를 하지 않으면 접합 불량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분류식 오수관 및 합류식 관에 콘크리트관을 사용할 때에는 고무링을 사용한 소켓접합을 원칙으로 한다. 소켓접합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① 새로 부설할 소켓관의 삽구부(Spigot)와 기설관 수구부(Bell mouth)의 중심과 중심선을 일치시킨다.② 수구부의 내면 및 고무링의 윤활면을 점검, 청소하고 브러쉬, 또는 걸레 등을 사용하여 윤활제를 균등하게 바른다. 이 때 토사와 먼지 등이 부착하지 않아야 한다.③ 새로 부설할 소켓관의 삽구부를 기 부설된 소켓관의 수구부에 밀착시킨다. 이 때 너무 세게 밀착시키거나 한쪽으로 편중되게 밀착시키면 고무링이 찢어지는 수가 있고, 너무 약하게 밀착시키면 접합부분의 일부에 틈이 생겨 수밀이 되지 않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4) 연결관 설치는 본관에 대하여 60° 또는 90°로 하며 세부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① 연결관의 경사는 10% 이상으로 하고 연결위치는 본관의 중심선보다 위쪽으로 하여야 한다.② 연결관은 가지달린 관 및 지관과 같은 이형관을 사용하고, 본관에 연결관을 직접 접합하는 경우에는 천공기로 정확히 천공하여 고무케넥트 등의 연성 재질 및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접합하여야 한다.③ 중차량이 많이 통과하는 아래의 연결관은 파손을 고려 콘크리트로 보호하여야 한다.(5) 기타 관의 접합은 SMCS 57 30 20에 따른다.

3.2 기설관과의 연결

(1) 연결공사 장소는 공사감독자의 입회하에 가능한 한 빨리 시굴조사를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기설관(위치, 관종, 지름 등) 및 다른 매설물을 확인하여야 한다.(2) 연결 공사를 할 때에는 사전에 시공일자, 시공시간 및 연결공사 공정표 등에 대하여 공사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3) 연결공사를 할 때에는 공사개소의 주변을 조사하고 배치, 교통대책, 관내 물을 배수할 곳 등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4) 연결공사에 필요한 기자재는 현장 상황에 적합한 것을 준비해야 한다. 또 배수펌프, 절단기는 미리 시운전을 해 두어야 한다.(5) 기설관의 절단개소, 절단개시 시기에 대해서는 공사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6) 연결개소에 강재방호가 필요할 때에는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건설 관련 용어모음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