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

안녕하세요 건설 다모아입니다.

건설 관련 용어모음 확인하기

이번 내용은 SMCS 서울시 전문시방서입니다.

국내 시방서 리스트 확인하기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적용 범위는 KCS 44 50 10 (1.5.1) 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관련 기준은 KCS 44 50 10 (1.5.3) 에 따르며, 추가사항은 다음과 같다.

KCS 44 50 10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SMCS 44 50 10 05 프라임 코트

SMCS 44 50 10 10 택 코트

SMCS 44 50 10 20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지침(국토교통부, 2014)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1) SMCS 44 50 10 05 (1.4) 에 따른다.

1.5 공사 관리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공사 관리는 KCS 44 50 10 (1.5.2) 에 따른다.

2. 자재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자재는 KCS 44 50 10 (2.5)에 따른다.

3. 시공

 

3.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시공

3.1.1 준비공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준비공은 KCS 44 50 10 (3.5.1) 에 따른다.

3.1.2 믹싱 플랜트

(1) 믹싱 플랜트는 SMCS 44 50 10 20 (3.2) 에 따른다.

3.1.3 시험포장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시험포장은 KCS 44 50 10 (3.5.3) 에 따른다.

3.1.4 현장배합

(1) 현장배합은 SMCS 44 50 10 20 (3.4) 에 따른다.

3.1.5 혼합작업

(1) 혼합작업은 SMCS 44 50 10 20 (3.5) 에 따른다.

3.1.6 혼합물의 운반

(1) 혼합물의 운반은 SMCS 44 50 10 20 (3.6) 에 따른다.

3.1.7 기상조건

(1) 기상조건은 SMCS 44 50 10 20 (3.7) 에 따른다.

3.1.8 포설장비

(1) 포설장비는 SMCS 44 50 10 20 (3.8) 에 따른다.

3.1.9 포설작업

(1) 포설작업은 SMCS 44 50 10 20 (3.9) 에 따른다.

3.1.10 다짐장비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다짐장비는 KCS 44 50 10 (3.5.10) 에 따른다.

3.1.11 다짐작업

(1) 다짐작업은 SMCS 44 50 10 20 (3.11) 에 따른다.

3.1.12 이음

(1) 이음은 SMCS 44 50 10 20 (3.12) 에 따른다.

3.1.13 마무리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마무리는 KCS 44 50 10 (3.5.13) 에 따른다.

3.1.14 두께측정

(1) 두께측정은 SMCS 44 50 10 20 (3.14) 에 따른다.

3.1.15 품질관리 및 검사

(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품질관리 및 검사는 KCS 44 50 10 (3.5.15) 에 따른다.

3.2 아스팔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표층

3.2.1 준비공

(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포설할 노면을 점검하여 파손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의 먼지 및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2) 균열의 상태를 조사하여 2급 균열 및 3급 균열의 경우는 팻칭을 하고, 균열이 중간층이나, 기층까지 미치고 있는 경우는 부분적으로 재포장하여 둔다.
(
주. 2급 균열이란 균열이 거북 등과 같은 모양으로 균열부의 틈이 벌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3급 균열이란 2급 균열이 더욱 파괴가 진행되어 균열된 부분이 조각으로 되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3) 교량 접속부, 암거 등 지하매설물의 주변에 생겨있는 침하에 의한 단차(段差)는 길이 10 m의 실을 당기어 측정하여 그 단차량이 40 ㎜를 넘을 때는 본 포장에 사용하는 혼합물로 사전에 단차를 보수하여 두어야 한다. (4) 소성변형의 깊이를 직선자로 측정하여 40 ㎜를 넘을 때는 요철부분을 절삭하고 수정하여 두어야 한다. 이 때 절삭한 찌꺼기는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5) 야간공사로 시행할 경우는 공사시공 및 통행차량의 안전을 위해 100 럭스(Lux) 이상의 조도(照度)를 유지할 수 있는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6) 교통을 소통하면서 일부 차단하고 포장공사를 시행하는 경우는 차단구간은 가급적 단축하여 교통소통에 크게 지장을 주지 않도록 현장을 관리하여야 하며, 안전관리요원을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적정하게 배치하여야 한다.(7) 작업장 및 도로상의 통행차량에 대한 안전운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시설(장구 및 표지판)과 안전관리요원 및 신호수의 활용에 대하여는 사전에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2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절삭

(1) 절삭 장비①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절삭하기 위한 장비는 상온절삭이 가능한 노면파쇄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파쇄와 병행하여 폐 아스팔트를 운반차량에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야 한다.② 노면파쇄기는 공사 중 절삭 깊이 조절이 가능하여야 하며, 현장반입 시 절삭드럼의 비트는 신품으로 교체하여야 한다.③ 공사에 사용할 노면파쇄기는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④ 노면파쇄기 절삭드럼의 비트는 포장면 절삭상태에 따라 교체하여야 하며, 비트의 교체는 전체를 일시에 교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부분교체를 하는 경우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2) 절삭 작업① 수급인은 공사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포장면을 절삭하여야 한다.② 절삭면은 평탄하여야 하며, 굴곡이나 요철이 심하게 발생한 구간은 다시 절삭 하여야 한다.③ 맨홀 주위 등 노면파쇄기로 절삭이 곤란한 구간은 별도의 절삭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기존 포장면이 침하하거나 변형이 심한 구간의 절삭방법은 공사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⑤ 절삭면에는 폐 아스팔트가 남지 않도록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3.2.3 택 코트

(1) 택 코트를 시공할 포장면은 시공 전에 뜬 돌, 먼지 기타 유해물을 제거하고 공사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2) 택 코트의 시행은 SMCS 44 50 10 10에 따른다.

3.2.4 교통개방

(1) 덧씌우기 공사는 공사의 특성상 조기에 개방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고, 포장 내부 혼합물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통개방 시 중차량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므로 살수 등의 방법으로 포장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방법을 시행하여야 한다.(2) 교통을 조기에 소통시키는 경우에는 표면의 온도가 40℃ 이하이어야 한다.

건설 관련 용어모음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