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강제 창호공사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강제 창호공사 SMCS 서울시 전문 시방서

안녕하세요 건설 다모아입니다.

건설 관련 용어모음 확인하기

이번 내용은 SMCS 서울시 전문시방서입니다.

국내 시방서 리스트 확인하기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강제 창호공사의 적용 범위는 KCS 41 55 06 (1.1) 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1) 강제 창호공사의 관련 기준은 KCS 41 55 06 (1.2.1) 에 따르며, 추가사항은 다음과 같다.

KCS 41 55 06 강제 창호공사

SMCS 41 47 00 도장공사

SMCS 41 49 00 금속공사

SMCS 41 55 09 유리공사

KS D 2268-1 방화문의 내화시험 방법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1) 강제 창호공사의 제출물은 KCS 41 55 06 (1.3)에 따른다.

2. 자재

2.1 재료, 부재 및 부속품

(1) 강제 창호공사의 재료, 부재 및 부속품은 KCS 41 55 06 (2.1)에 따른다.

2.2 운반 및 저장

(1) 강제 창호공사의 운반 및 저장은 KCS 41 55 06 (2.2)에 따른다.

2.3 제작

2.3.1 강제 문 및 틀의 제작

(1) 공장가공① 성형, 절단, 휨, 구멍 뚫기 등의 기계가공은 정확히 한다.② 용접가공은 열에 의한 변색, 비틀림, 얼룩 등이 생기지 않도록 정확하고, 세심하게 마감한다.③ 플라스터 가드(Plaster guard) 등 철물이 설치될 부분의 가공 및 내부보강은 공장 가공으로 한다.(2) 공장조립① 부재 및 보강재 등의 접합은 정확하고, 확실하게 한다.② 부품의 조립은 정확하고, 확실하게 한다.(3) 열부재① 면에 단열문을 표시한 경우 별도 지정이 없으면 K 값이 0.36 kcal/hr.㎡.c 이상인 부재를 사용하여야 한다.(4) 방음부재 ① 도면에 방음부재를 지시한 곳은 도면과 시방서에 따라 시험하고 분류해서 제작한 문과 문틀을 사용하여야 한다.(5) 녹막이 도장① 스테인리스 강판은 녹막이 도장을 실시하지 않는다. 아연도금 및 이와 동등한 녹막이처리가 된 강판, 또는 녹 발생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사용하는 강판의 경우에는 녹막이 도장을 할 수 있다.② 도장면은 철선 솔(와이어 브러시), 연마지 등을 사용하여 마무리한다.③ 녹막이 도장은 바탕마무리를 한 후, 먼지, 더러움, 기름, 용접재 등의 표면부착물을 제거한 다음, 전면에 일정하게 한다.④ 공장에서 KS M 6030에 따라 초벌도장 바탕을 고르게 처리해서 마감도장을 할 수 있어야 한다.⑤ 부품조립이나 가공 등에 의하여 녹막이 처리부분이 떨어진 경우에는 바탕처리 후 재녹막이 도장을 한다.(6) 공장 내 보양공장가공, 공장조립, 녹막이 도장, 검사 등의 각 단계를 거친 부품 등은 손상, 더러움 등이 생기지 않도록 정연하게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보양한다.

3. 시공

(1) 강제 창호공사의 시공은 KCS 41 55 06 (3. 시공)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