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건설현장 자재 구분 관급자재, 도급자재, 지급자재, 사급자재 구분방법
길위에서의 낭만
2024. 8. 2. 12:44
관급자재, 도급자재·지급자재·사급자재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는 그 공급 주체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사급자재
- 시공자가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는 자재입니다.
- 장점: 시공자가 자재 선정 및 구매에 대한 자율성이 높아, 공사 특성에 맞는 최적의 자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단점: 품질 관리, 납기 관리, 가격 관리 등을 시공자가 직접 책임져야 하므로,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관급자재
- 발주자가 직접 구매하여 시공자에게 제공하는 자재입니다.
- 장점: 발주자가 품질 관리, 납기 관리, 가격 관리 등을 책임지므로, 시공자는 자재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단점: 시공자가 자재 선정에 대한 자율성이 제한되고, 발주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재 변경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도급자재
- 발주자가 시공자에게 자재 구매를 위임하고, 시공자가 자재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자재입니다.
- 장점: 시공자가 자재 선정에 대한 자율성을 가지면서도, 발주자의 품질 및 납기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 단점: 시공자는 자재 구매 및 관리에 대한 책임을 일부 부담해야 합니다.
지급자재
- 발주자가 시공자에게 자재를 직접 제공하는 자재입니다.
- 장점: 발주자가 품질 관리, 납기 관리, 가격 관리 등을 책임지므로, 시공자는 자재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단점: 시공자가 자재 선정에 대한 자율성이 제한되고, 발주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재 변경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간단한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재 종류 | 공급 주체 | 장점 | 단점 |
---|---|---|---|
사급자재 | 시공자 | 자율적인 자재 선정 | 품질, 납기, 가격 관리 책임 |
관급자재 | 발주자 | 품질, 납기, 가격 관리 책임 없음 | 자재 선정 자율성 제한 |
도급자재 | 발주자 (구매 위임) | 자재 선정 자율성 + 품질, 납기 기준 준수 | 자재 구매 및 관리 책임 일부 부담 |
지급자재 | 발주자 | 품질, 납기, 가격 관리 책임 없음 | 자재 선정 자율성 제한 |
각 자재 종류는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공사의 특성, 발주자의 요구 사항, 시공자의 역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자재 종류를 선택해야 합니다.
반응형